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 지형의 변화에 따른 조선 시대 문체 인식의 태도 연구 -문체 점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ttitude of Style Recognition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Knowledge Terrain -Focusing on the gradual change in style(文體漸變)-)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3
26P 미리보기
지식 지형의 변화에 따른 조선 시대 문체 인식의 태도 연구 -문체 점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83호 / 199 ~ 224페이지
    · 저자명 : 김경남

    초록

    이 글은 유협(劉勰)의 『문심조룡』과 조선왕조실록의 ‘문체(文體)’ 관련 논쟁을 중심으로, 지식 지형의 변화가 글쓰기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둔 글이다. 문체란 문장의 체재(體裁)를 의미하는 말로, 근대의 작문 이론이 등장하기 전부터 널리 쓰였던 용어이다.
    동양의 전통적인 문체는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언급한 것처럼 경사서(經史書)의 체재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체는 술이부작(述而不作)의 전통이 강한 중국에서 진실하고 도덕적인 글이 갖추어야 할 특징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문심조룡』에서는 이를 ‘원도(原道)’라고 표현한다. 이 책의 ‘종경 제3(宗經 第三)’에서는 전통적인 문체가 경사서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각각의 문체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조선 시대의 문체 논쟁은 주로 과문(科文)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는데, 과문에 쓰이는 각각의 문체가 지켜야 할 조건을 따르지 않는 현상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처럼 문체 논쟁이 순수한 글, 도덕적인 글이 변질되어 감을 비판하는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음은 지식 지형의 변화와 문체 논쟁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정조 연간 서학이 만연됨에 따라 문체상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고 있음을 비판한 논쟁을 통해, 문체가 지식 표현의 수단이며, 이에 따라 지식 지형의 변화가 문체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the changes in knowledge terrain on writing and focusing on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MUNSIMJORYONG(文心雕龍, written by Liu Xiaoping, 劉勰) and the JOSEONWANGJOSILROK(Joseon Dynasty Annals). Stylistics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sentence structure. It was widely employed before the emergence of modern writing theory.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Orient is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yle of GYEONGSA (經史) as mentioned in the MUNSIMJORYONG. The style has been recognized as a characteristic of true and moral writings in China, which has a tradition of predicament. In this book, the traditional style is derived from the slant books and explains the conditions that each style should possess.
    The controversy of the style in the Joseon Dynasty was mainly based on the GWAMUN (科文, Management appointment examination) and criticized the fact that each style used in the passage does not follow the conditions meant to be followed. The fact that the stylistic controversy leads to a controversy that criticizes the feeling that moral writing is altered, signifies that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terrain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ylistic controversy.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yle is a means of knowledge expression through the controversy, which criticizes the rapid changes in the style due to the prevalence of the JEONGJO (正祖). Apparently,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topography lead to the changes in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