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에 관한 연구 (A Study in the Siqitongyibian(『四七同異辯』) of the Ha-bin(河濱) Shin Hu-Dam(愼後聃))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6
25P 미리보기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76호 / 63 ~ 87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이 논문은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에 나타난 사단칠정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신후담의 사단칠정론은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사칠신편(四七新編)』에 기본적으로 동의를 표하였다. 따라서 신후담은 이익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견해와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견해를 통합하려는 시도에도 기본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이익에게 공칠정(公七情)등의 4가지 물음을 던짐으로써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사칠동이변』은 주자(朱子)의 취지에 동의하는가 동의하지 않는가에 따라서 ‘설동(說同)’과 ‘설이(說異)’로 나눈 전반부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에 이익과의 차이점에서 비롯된 5개의 장이 덧붙여진다.
    신후담은 리(理) 개념을 세분화함으로써 성리학적 형이상학에서 벗어나려고 시도 하였으나 리일분수(理一分殊), 음양(陰陽)․오행(五行) 등의 성리학적 개념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성리학의 틀에서 완전하게 벗어날 수 없었다. 신후담은 4가지 질문 가운데 2번째 질문에서 공칠정(公七情)은 리발(理發)이 맞는다고 주장한다. 이익도 신후담의 견해를 받아들여 자신의 견해를 수정한 「중발(重跋)」을 지어 보낸다. 그러나 「중발」은 이익의 수제자인 소남(召南) 윤동규(尹東奎)의 반대에 부딪치고 뒤에 성호학파의 분기에까지 이르게 된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Siduanqiqing(四端七情) theory in Shin Hu-Dam(愼後聃)'s Siqitongyibian(『四七同異辯』) was examined. Shin Hu-Dam(愼後聃)'s Siduanqiqing(四端七情) theory basically agreed to Yi Yik(李瀷)'s Siqixinbian(『四七新編』). Accordingly, Shin Hu-Dam(愼後聃) also basically agreed to Yi Yik(李瀷)'s attempt to integrate Yi Huang(李滉)'s opinion and Yi Er(李珥)'s opinion. Yet, by asking four questions, such as Gongqiqing(公七情), to Yi Yik(李瀷), he revealed differences.
    Siqitongyibian(『四七同異辯』) consisted of four chapters of the first part categorized into ‘Shuotong(說同)’ and ‘Shuoyi(說異)’ depending on whether it agreed to Zhu Xi(朱子)'s points or not, and later, five chapters were added with the differences from Yi Yik(李瀷).
    Shin Hu-Dam(愼後聃) tried to break away from Neo-Confucian metaphysics by subdividing the concept of Li(理), but he didn't completely overcome the frame of Neo-Confucianism because he used Neo-Confucian concepts, for instance, Liyifenshu(理一分殊),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as they were. Among the four questions, regarding the second one of Gongqiqing(公七情), he argued that Lipo(理發) was correct. Yi Yik(李瀷) also accepted Shin Hu-Dam(愼後聃)'s opinion, corrected his opinion and wrote down and sent “Zhongba”(「重跋」). However, “Zhongba”(「重跋」) was rejected by Yi Yik(李瀷)'s best pupil, Yin Dong-Kui(尹東奎), and led to the divergence of Xinghu(星湖)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