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연구 (The Study on the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8.08
1415P 미리보기
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27권 / 111 ~ 1525페이지
    · 저자명 : 정재철

    초록

    조선 세종 때에 널리 유통한 한유 시문의 주석서로 魏仲擧가 慶元 6년(1200)에 福建省 에서 간행한 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현재 연세대도서관에 경원본을 영인한 판본이 소장되어 있고, 서울대도서관에 乾隆 49년(1784)에 중간한 판본이 소장되어 있다. 이 2종의 중국 판본은 半郭의 길이만 조금 다를 뿐 나머지는 모두 같은 형태로 조판되어 있다. 또한 서울대규장각에 간행년도를 알 수 없는 판본이 零本 형태로 소장되어 있고, 연세대도서관에 癸未字飜刻本으로 알려진 판본이 零本 형태로 소장되어 있다. 서울대규장각본은 경원본보다 이른 시기에 간행된 판본으로 보이는데, 동국이상국집이 간행된 고종 38년(1251)에서 시작해 세종이 즉위한 1419년(세종 원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책명에서 보듯이 위중거는 오백가주음변창려선생집에 수록되어 있는 주석자의 수가 500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책의 머리에 제시된 주석가는 당나라의 劉昫부터 송나라의 王銍까지 148명과, 集注 50명, 補注 50명, 廣注 50명, 釋事 20명, 補音 20명, 協音 10명, 正誤 20명, 考異 10명을 합하여 모두 368명이다. 필자가 경원본에 달려 있는 주석을 검토한 결과 주석에 실명이 제시되어 있는 사람은 모두 44명으로 위중거가 실명으로 제시한 148명에 3분의 1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유형별로 나누면, 한유의 시문을 논평한 28명, 한유의 문집을 훈고한 14명, 한유의 시문을 음석한 2명 등이다. 이로 보아 위중거가 책의 제목을 ‘五百家注’라고 한 것은 博學과 詳說을 과시하려는 생각에서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위중거는 오백가주음변창려선생집을 출간하면서 일정한 체제에 따라서 44명의 저서를 활용해 행간이나 글자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주석을 절충하거나 통합하였다. 그는 일부 내용이 중복되더라도 가능하면 제가들의 다양한 주석을 첨삭 없이 제시하여, 독자들이 한유의 글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두루 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補注’, ‘集注’, ‘舊注’에서 글자나 문장의 뜻, 어휘의 출처나 창작 동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그는 도학적 문학관이 주도면밀하게 적용되어 있는 주희의 주석을 철저히 배제하고, 특정한 견해나 편향된 주제에서 벗어나 다양한 내용의 주석들을 독자들에게 제공하였다.
    위중거가 간행한 오백가주음변창려선생집은 王伯大가 1227년 福建省에서 간행한 朱文公校昌黎先生集과 함께 조선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세종은 이 두 판본의 원문과 주석이 서로 달라 독자들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적지 않은 혼란을 주고 있다고 보고, 주희의 주석을 중심으로 두 판본의 주석을 통합해 세종 20년에 갑인자로 주문공교창려선생집을 간행하였다. 이후 조선에서는 주희의 도학적 문학관이 녹아들어 있는 갑인자본이 널리 유행하였고, 이에 따라 위중거의 오백가주음변창려선생집은 설자리가 급격히 좁아졌다. 이와 같이 조선에서 한유의 문집이 유통한 양상을 통하여 文以載道를 중심으로 한 도문일치를 지향했던 조선시대 한문학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notation books for Han-yu韓愈’s poetry and prose which Wei-zhongju魏仲擧 published in Fujiansheng福建省 in Qingyuan慶元 6(1200). This book is now in Yeonse University as the block book for Qingyuan Type慶元本 and Seoul University also has a block book which was republished in Ganlong乾隆 49(1784). These two kinds of Chinese block books were typeset as the same way except the page frame. And the Koujangkak奎章閣 of Seoul University has a defective block book, which we cannot know the publishing year and Another block book known as Gaemi Type Bunkukbon癸未字飜刻本 is in the library of Yeonse University. The book of Koujangkak in Seoul University is considered to be published from King Gojong高宗 38(1251), the same year of publication of 『Dongkookleesangkookgip東國李相國集』 to King Sejong世宗 1(1419) by using the block book which had been published earlier than 慶元本 as the text.
    As we can see, Wei-zhongju said the annotators of the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 were 500 people. But the annotator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head of this book are 368 people in total, 148 from Liuxu劉昫 of Tang唐 dynasty to Wangzhi王銍 of Song宋 dynasty, 50 for Jizhu集注, 50 for Buzhu補注, 50 for Guangzhu廣注, 20 for Shishi釋事, 20 for Buyin補音, 10 for Xieyin協音, 20 for Zhengwu正誤, 10 for Kaoyi考異. I checked the annotations of the Qingyuan Type and realized that only 44 people were presented by their real names in the annotations and this is a third of the annotators which Wei-zhongju presented by their real names. Dividing these into types, there are 28 people for making reviews, 14 people for commenting, and 2 people for explaining the pronunciation methods of Han-yu’s poetry and prose. From this we can guess that Wei-zhongju wanted to make a display of his wide and professional knowledge by naming the book’s title as Wubaijiazhu五百家註.
    When Wei-zhongju published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 he compromised or unified the annotations to help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letters and read between the lines by using the books of the 44 people with a settled system. He recorded the different annotations of many masters without correcting, even though some of the contents were duplicate, so that the readers could get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understand Han-yu’s works. And he also provide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the meanings of the letters and sentences, the origins of the vocabularies and the motives of the creation in ‘Buzhu補注’, ‘Jizhu集注’, ‘Jiuzhu舊注’. And he thoroughly excluded the Joo-hee’s annotations which had carefully adopted the moral philosophical literary view and provided various contents of the annotations to the readers while avoiding the specific ideas and biased subjects.
    These two books,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 published by Wei-zhongju and 『Zhuwengongjiaochanglixianshengji朱文公校昌黎先生集』 published by Wang-baida王伯大 in 1227 in Fujiansheng, were very popular in Choson. King Sejong thought the readers would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because the annotations of these two books we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 books, so he made publish 『Zhuwengongjiao- changlixianshengji』 by Gabin Type甲寅字 in Sejong 20 by unifying the annotations of these block books by using, mainly, Joo-hee’s annotations. After that Gabin Type in which Joo-hee’s moral philosophical literary views melted, became very popular and from this time, Wei-zhongju’s 『Wubaijiazhuchanglixianshengji』 quickly lost its popularity. By this we can underst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Choson era that always pursued the accordance with morality and literature through the distributed aspect of Han-yu’s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