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설법상의 도상과 주역의 8괘상 및 12벽괘상의 불교적 해석 (Study on the images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 in Yecheon, and the meaning of 8-Trigrams and 12-Hexagrams.)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06
51P 미리보기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설법상의 도상과 주역의 8괘상 및 12벽괘상의 불교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6호 / 305 ~ 355페이지
    · 저자명 : 유근자

    초록

    본 논문은 1684년에 조성된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의 도상과 본존 아미타여래상 광배에 표현된 『주역』의 8괘와 목각설법상 외곽틀에 새겨진 12벽괘를 분석한 것이다. 용문사 목각설법상을 조성하는데 텍스트 역할을 한 것으로 『예념미타도량참법』을 주목했다. 용문사 목각설법상에 표현된 8대보살의 명칭은 용문사 승려 명연이 1704년에 『예념미타도량참법』의 내용을 발췌해서 만든 『염불보권문』과 일치하고, 참법(懺法)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목각설법상 본존불 광배의 『주역』 8괘상과 외곽틀의 12벽괘상은 당나라 이통현의 『신화엄경론』 사상에 입각해 분석했다. 아미타여래상 광배의 8괘는 팔대보살을 상징하는 것으로, 외곽틀의 12벽괘는 화엄의 수행 단계로 해석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12벽괘의 배치에 대한 여러 견해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목각설법상 외곽틀의 12벽괘상 가운데 절반의 수에 해당하는 하단의 괘상들이 중심점에서 회전하면서 보는 시각이 아니라 외부 고정점에서 보는 형태로 상하가 반전되어 표현된 것으로 인한 해석의 오류로 보인다.
    17세기 예천 용문사를 중심으로 승려와 유학자들이 교류했고, 당시에 유행하고 있던 도교 풍습인 수경신(守庚申)이 행해졌던 장소인 용문사에 목각설법상과 삼존상이 봉안되었다. 이는 목각설법상 외곽틀의 12벽괘상이 당시 불교·유교·도교가 습합된 신앙 형태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불교미술사 및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mages of the 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at Yongmunsa Temple in Yecheon created in 1684, the 8 trigrams of the Book of Changes expressed on the mandorla of the main Buddha statue, and the 12 hexagrams engraved on the outer frame of the Altarpiece.
    Attention was paid to ‘禮念彌陀道場懺法(Yenyeom Mitadoryang Chambeop)’ as it played a text role in creating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 The names of the Eight Bodhisattvas expressed in the Altarpiece are consistent with the ‘念佛普勸文(Yeombul Bogwonmun)’ created by Myeongyeon, a monk at Yongmunsa Temple, in 1704 by extracting the contents of ‘禮念彌陀道場懺法(Yenyeom Mitadoryang Chambeop)’, and the ‘念佛普勸文(Yeombul Bogwonmun)’ is deeply related to the method of repentance.
    The eight trigrams on the mandorla of the Buddha and the twelve hexagrams on the outer frame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were analyzed based on the ideas of Lee Tong-hyeon of the Tang Dynasty on the New Avatamsaka Sutra(新華嚴經論). The eight trigrams on the mandorla of the Amitabha Buddha are interpreted as symbolizing the Eight Bodhisattvas, and the twelve hexagrams on the outer frame are interpreted as the stages of practicing Hwaeom.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various views on the arrangement of the twelve hexagrams. However, this is an error in interpre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lower half of the twelve hexagrams on the outer frame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are displayed upside down as viewed from an external fixed point, rather than as viewed from a rotating perspective at the center point.
    In the 17th century, monks and Confucian scholars interacted around Yongmunsa Temple in Yecheon.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was enshrined at this temple, a place where Sugyeongsin(守庚申; a Taoist custom popular at the time), was performed.
    Thi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and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at the twelve hexagrams on the outer frame of the Altarpiece are interpreted as a form of faith that combined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