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연’의 시대, ‘벽’의 언어 : 1950년대 ‘비평/위기’의 존재론과 민족(어)문학의 자기구축 테크놀로지 (The Logic of The 1950s Discourse on the “Criticism/Crisis” and the Self-Making Technology of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3.10
36P 미리보기
‘심연’의 시대, ‘벽’의 언어 : 1950년대 ‘비평/위기’의 존재론과 민족(어)문학의 자기구축 테크놀로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51호 / 117 ~ 152페이지
    · 저자명 : 조은애

    초록

    이 글은 1950년대 민족(어)문학을 둘러싸고 그 안팎의 경계를 획정하는 작업을 비평의 책임론과 결부시키는 한편, 비평의 토대가 되었던 시대인식이자 그것을 표명하는 수사학이었던 ‘위기’의 존재방식을 통해 재구성해 보고자 했다. 해방 후부터 1950년대 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문학의 위기에 대해 언급했던 백철의 여러 비평들은, 계몽과 진보에 대한 역사철학적 관념의 형성에 있어 ‘비판’과 ‘위기’가 갖는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문학의 위기에 대한 인식은 ‘전후’를 역사발전상의 한 전환점으로 특권화하였으며 이를 위해 특정한 비평적 수사들을 동원했다. ‘위기(의식)를 가진 자’=‘판단하는 자’로서 비평가들은 그들의 비평정신이 한국사회의 공통적인 에토스를 형성한다고 강조하며 문학의 가치를 옹호하였고 그 심층에는 비평에 대한 자각이 관통하였다. 즉 1950년대 비평은 ‘전환기’, ‘과도기’ 등의 시대인식과 관련, 과잉된 자의식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백철을 통해 알 수 있듯 이는 당대 한국문학이 분명 논리적으로는 시대적 교체기에 있으면서도 그 징후가 가시화되지 않는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나의 독립적ㆍ유기적인 국민(민족)문학으로서 냉전과 국가주의와의 관련 속에 그 심상지리를 재조정함으로써 성립할 ‘한국문학’이란, 자명하고 통일된 개념이라 할 수 없었다. 1950년대 한국의 문학 장에서 외국어 침투의 문제, ‘세계’라는 관계항을 실재화한 번역과 중역의 문제,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중흥과 함께 촉발된 시각성에 관한 문제를 둘러싸고 일어난 논쟁들은 이를 증명한다. 이러한 사태들은 그 자체로, 한국문학을 민족문학/국민문학으로서 성립하게 해주는 민족어/국어의 존재 또한 특권적인 지위를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었음을 암시해 준다. 대한민국이라는 신생국가의 문화적 동일성 및 정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민족어’ 권역=‘단일언어사회’로의 언어공동체 경계 획정이 요구되었으며, 민족(어)문학의 위기에 관한 담론은 그것의 ‘기원’을 재설정하기 위한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nk between the project of determining the boundary of national-language literature and the debates about the role of criticism in South Korea during the 1950s. It also examines the discursive logic of this “crisis” which made criticism of this period possible. From liberation and through the 1950s, critic Paek Ch’ŏl, whose works continuously made references to “the crisis of literature,”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que” and “crisis” in the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formation of notions of enlightenment and progress. Consciousness about the crisis of culture privileged “the postwar” as a turning point in progressivist historical thought, and a particular critical rhetoric was deployed to this end. Following the formula “being conscious of the crisis=ability to make judgment,” critics emphasized the idea that critical consciousness is what shaped the communal ethos of Korean society and supported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is mindset was penetrated with an excessive self-consciousness about the role of criticism. To put it differently, we might say that this self-consciousness was an awareness about the 1950s as a “turning point” or a “transition period.” As we can see from Paek, a self-awarenss about a sense of crisis stemmed from the fact that while Korean literature was supposed to be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theoretically-speaking, signs of this transformation were not yet visible. As an independent and organic (ethno)national literature, the so-called “Korean literature,” the imagined topography of which had forme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st-colonial nationalism and the Cold War, was neither self-evident nor unified as a concept. We see this i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infiltration” of foreign languages in the 1950s literary field, in the debates about translation and second-hand translation in which a world recalcitrant to unmediated understanding became visible, as well as in the problems of new technologized forms of visuality. These cases suggest that the (ethno)national language could not enjoy the privileged position of being able to securely establish Korean literature as an (ethno)national literature. In order to ensure the legitimacy and cultural unity of the new nation-state “Republic of Korea,” the boundaries of a linguistic community based on the formula “national- language sphere=monolingual society” had to be established. Furthermore, we can say that the discourse on the crisis of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was part of an attempt to re-order how its very origins were to be underst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