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 : 중편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Politics of Attention & Lunacy appeared in Lee Chung-Joon's Nove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02
22P 미리보기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 : 중편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3호 / 205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광호

    초록

    이 논문은 이청준 문학의 현대성을 중편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시선’과 ‘광기’라는 주제는 현대적 주체의 형성과 관련된 중요한 테마이다. ‘광기’는 주체성의 논리가 타자화 했던 대상이고, 광기에 대한 시선은 이성의 자기정당화의 요구와 연관되어 있다. 중편 「소문의 벽」은 광기를 타자화 하는 이성의 시선과 그것이 바탕하고 있는 권력과 언어의 문제를 예리하게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광기를 둘러싼 시선의 권력이라는 측면에서 이청준의 문학이 더욱 정교한 소설적 질문법을 만들어내는 것은, 그 사이에서 언어와 글쓰기의 문제를 사유하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서 전짓불 앞의 공포로 상징되는 상황은 진술을 불가능하게 하는 권력의 억압이라는 도식을 넘어서서, 소설쓰기 자체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억압을 사유하는 만든다. 작가는 진술의 공포와 소설쓰기의 불가능성을 동시에 사유하고 소설쓰기의 가능성을 메타적인 방식으로 보여준다. 이 소설의 또 다른 비판적 성찰의 대상은 진술의 공포와 광기의 문제를 둘러싼 현대적 의료 권력의 시선이다. 정신병원의 김박사는 광인을 대하는 현대적 의료 권력의 시선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여기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이 성립된다. 전짓불의 공포란 진술주체가 마주하게 되는 시선의 공포이다. 소설에서 박준의 광기는 그 시선의 폭력 앞에서 어떻게 자신을 보존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현대적인 의료권력이 광기를 관리하는 방식은 배제와 억압이 아니라, 시선에 의한 관리 방식이다. 정신분석으로 대표되는 현대적인 의료권력이 광기에 대한 전지전능한 이성의 시선을 보여준다면, 소설의 언어는 그와는 다른 지점에서 광기에 대한 문학적 대화를 시도한다. 서사의 내부에서 박준의 광기는 소설쓰기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그 광기를 이야기함으로써 이 소설은 광기를 둘러싼 세계를 탄핵하는 소설쓰기를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중편 「소문의 벽」에서 보여주는 것은, 이성의 타자로서의 광기를 배제함으로써 근대적 주체성의 원리를 확립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과 광기의 상호성을 사유함으로써 광기와 대화하는 새로운 문학 언어의 가능성을 탐문하는 것이다. 그것은 계몽적 이성의 확립을 통해 현대성을 성취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성과 비이성의 긴장관계 속에서 광기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현대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대적 주체성의 원리에 대한 문학적 해석이자 동시에 문학적 비판인 이런 지점은 미적 현대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modernity of Lee Chung-Joon's literature centering his novelette, 「The Wall of Rumors」in the context of politics of attention and lunacy. The themes of 'attention' and 'lunacy'are important them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odern object. The 'lunacy' is the object making the logic of objectivity into others, and the attention on th lunacy is connected to the need for self justification of rationality. His novelette,「The Wall of Rumors」is the text sharply showing the rationality's attention making the lunacy into others and the matters of power and language based on that. The reason why Lee Chung-Joon's literature made more elaborate fictitious question method in terms of the power of attention surrounding the lunacy is because he thought the matters of language and writing between them(the attention and the lunacy).
    In this novelette, the situation symbolizing the fear before the electric light makes the reader the essential suppression embedded in writing a novel, beyond the scheme of suppression of power making the statement impossible. The author thinks the fear of statement and the impossibility of writing novels at the same tim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writing novels in the metaphoric way. Another object of critical insight is the attention of modern medical attention surrounding the both matters of fear of statement and lunacy. Dr. Kim, a psychiatrist in a mental hospital clearly shows the modern medical power's attention treating madmen.
    Here forms the politics of attention and lunacy. The fear of electric light is the fear of attention which the stating object faces. In the novelette, Park Joon's lunacy has the importance in that how it can preserve itself before the violence of attention. Modern medical power's method managing the lunacy is the management by the attention, not by the exclusion and suppression. While modern medical power represented by the psychoanalysis shows the omniscient rationality's attention on the lunacy, the language of novelette tries the literary dialogue about the lunacy from a different position. Park Joon's lunacy makes writing a novel impossible in the story, but by talking about the lunacy, this novel makes writing a novel impeaching the world around the lunacy.
    What the novelette, 「The Wall of Rumors」shows is not the establishment of principles of modern objectivity by excluding the lunacy as making the rationality into others, but the investig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new literature language talking the lunacy by thinking the interactivity between power and lunacy. That mean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modernity producing and managing the lunacy through the rationality and its tense relationship, not the way achieving the modern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ve rationality. This point of literacy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about the principles of modern objectivity can be said as a part of esthetic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