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속에 나타난 ‘불안’의 의미 연구 -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 (Study of 'Anxiety' in literature - with Lee Cheong-jun’s 「The wall of Gossip」 -)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3.12
44P 미리보기
소설 속에 나타난 ‘불안’의 의미 연구 -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2호 / 327 ~ 370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애

    초록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문학 속에 드러난 불안의 의미를 고찰해 봄을 목표로 한다.「소문의 벽」은 외형적 주인공인 잡지사 편집장인 ‘나’가 소설 내적 주인공인 소설가 박준의 병적 ‘증상’을 그의 미발표 소설을 통해 추적해 나가는 추리소설적 성향을 지닌 액자소설이다. 그러나 이 소설 밖에는 분석가로서의 작가 이청준이 있으며, 또 그 밖에는 ‘독자’라는 분석가의 시선이 존재한다. 본고는 분석가의 시선으로 이 텍스트의 무의식을 독해해 낼 것이다.
    주인공 소설가 박준은 어렸을 적, 6.25 전쟁 중에 밤이면 찾아와, ‘전짓불’을 들이대며 국군의 편이냐 북한군의 편이냐에 대한 대답을 강요당했던 기억으로 말미암아 전짓불에 대한 공포와 그것을 둘러 싼 불안으로 진술공포증과 진술거부증을 앓게 된다. 자신을 미친 사람이라고 규정하는 박준은 스스로 정신병원을 찾아가 치료를 받지만, 끝내 그 정신병원을 탈출하여 종적을 감추고 만다. ‘나’는 그가 남긴 미발표 소설을 통해서 그가 겪었던 ‘심리적 현실’을 추적해 볼 뿐이다.
    필자는 여기서 세 가지 문제에 주목한다. 첫째, ‘전짓불’이라는 큰타자의 시선이란 무엇인가. 둘째, ‘진술한다’는 것, 즉 말한다는 것은 인간 주체에게 무슨 의미를 갖는 것인가. 셋째, 이를 둘러싸고 인간에게 일어나는 ‘불안의식’은 어떤 심리적 메커니즘 아래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나타나는가가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찰해 보기 위하여 본고는, 사회과학적 방법론으로 사회적 권력과 정치적 억압의 측면에서 주로 이 소설을 다룬 기존의 연구 방법을 지양하거나 그것과 거리를 두고 프로이트, 라캉의 정신분석의 측면에서,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내에서 발원한 불안의 구조적 문제를 논의해 볼 것이다.
    정신분석, 특히 라캉의 정신분석에 의하여 본고가 제시한 위의 세 가지 문제를 분석해 보면, 첫째, ‘전짓불’로 상징되는 전짓불의 은유는 다름아닌 큰타자의 시선인 것이다. 큰타자란 단지 ‘말의 장소’일 뿐이지만, 주체가 말을 할 때 주체의 뒤에서 출현하여 수신자인 그 큰타자의 욕망의 진실을 발신자인 주체에게 되돌려 주는 그러한 존재인 것이다. 둘째, 그러므로 주체와 큰타자의 관계에서는 언어(말)의 문제, 즉 진술하기와 글쓰기의 문제가 중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이것이 바로 라캉이 무의식을 연구하면서 그토록 언어의 문제에 천착한 이유이다. 셋째,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주체에게 불안이 발생하는 것이다. 주체는 큰타자에게 말을 거는 순간, 그의 욕망을 알 수 없어 불안하며 두려움을 가지는 것이지만, 결국은 언어로 지시될 수 없는 주체의 무의식 속의 욕망의 진실을 알지 못하여 불안해하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속에서 전개되는 불안의 구조이자 의미이다.
    「소문의 벽」이 단지 전짓불로 상징되는, 시대적 폭력이나 사회적 억압의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는 차원을 넘어, 언어와 욕망의 문제를 둘러싸고 인간 존재의 심리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리적 현실 내지 심리적 진실로서의 불안의 구조적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는 점을 본고는 강조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Lee Chung Jun’s novel “The wall of Gossip” and how an individual’s social anxiety can be affected by their past experience(s). Park Jun’s novel is a mysterious story about character “I”, who whilst writing his own unpublished novel discovers upon self-reflection of his own problems within certain social situations.
    Park Jun developed a phobia of being questioned by people from the time of the Korean War. Being held against his will and forced to answer questions by military personal under strenuous, stressful conditions, threatened under ‘flash light’, about whether he was on the North or South Korean side.
    In this analysis of Park Jun's novel we attempt to relate the same conditions in which Park Jun writes about in his novel with that of everyday life, and how everyone may suffer from the same psychological effects of past traumas.
    By using Freud and Lacan's psychoanalysis theories in which, Freud attempts to state that truth of Unconscious is from reality and Lacan the truth of Unconscious is from the verbal words.
    Park Jun's character 'I' is a consistent liar to 'The Others'. As a means of avoiding conflict and anxiety rather than upset ‘The Others’ he always gives the answer that they expect, the only problem being that he does not know what people want so he cannot answer anything.
    At first his novel starts out as a fear obsessions when he started his novel but it turns to mental illness in 'The Real' whilst he was writing his novel because of he was resisting to answer.
    「The wall of Gossip」 is a tragic drama and also a report of 'anxiety'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Re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