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위주의적 사회구조와 소설의 형식 —이청준 소설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The Authoritarian Social Structure and the Form of Fic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02
29P 미리보기
권위주의적 사회구조와 소설의 형식 —이청준 소설 &lt;소문의 벽&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32호 / 463 ~ 491페이지
    · 저자명 : 김정관

    초록

    이 논문은 사회 구조와 소설의 형식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 상동성을 근거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권위주의적 사회 구조의 본질과 문학 텍스트의 사회학적 의미를 구명하고, 나아가 이청준 작품 <소문의 벽>의 소설사회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려 하였다.
    <소문의 벽>은 한 소설가를 ‘진술에 대한 공포증’에서부터 시작하여 ‘정신분열증’에까지 이끈 억압구조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소설 속에서 또 다른 세 편의 소설(원소설 속의 주인공이 쓴 세 편의 소설)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는, 일종의 알레고리적 액자소설이다. 이청준은 알레고리적으로 표현된 세 편의 서로 다른 소설을, 그것을 포괄하고 있는 원소설 세계의 구조 속에 끼워 넣음으로써 원소설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또한 이렇게 하여 이루어진 원소설의 의미구조를 보다 큰 현실의 전체구조 속에 집어넣음으로써, 원소설의 의미구조가 알레고리적으로 현실전체의 사회구조를 이해시키는 틀이 되게끔 하고 있다.
    이처럼 <소문의 벽>은 표면적인 현실의 이면에 존재하는 사회의 정신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한 양식상의 특징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양식상의 특징들이 인간 현실의 본질상(本質像)을 암시하고 있는 알레고리적 세계와 구조적 동형체를 이루고 있다. 이 작품은 삽화적 소설들을 현실세계 전체 속으로 확장시켜 나아가는 방식을 사용하여, 결국 소설형식과 사회구조가 상동적인 관계로 만나는 체계적인 세계를 형성한다.
    때문에 소설 속의, ‘전짓불의 기억’에서 발아하여 ‘소문의 벽’까지 이어지는 억압형태의 전개 양상은 전통사회의 부권적 통치체제에서 시작하여, 전쟁과 이데올로기적 싸움의 시기를 지나, 군부독재가 확립한 ‘관료적 권위주의’의 사회구조에 이르는 한국 사회의 변화 양상과 구조적으로 상응한다. 이는 작품 전체가 현실의 권위주의적 사회구조를 통시적으로 함축하고 있으며, 소설 양식이 작가의 현실인식, 사회인식을 구조적으로 은유하고 있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brings light on the nature of the framework of the authoritarian society and the soiciological meaning of the literature text, by analyzing the Lee Cheong-joon's novel―ꡔThe Wall of the Rumorꡕ based on the structural homology that exists among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novel form.
    ꡔThe Wall of the Rumorꡕ fulfills the stylistic features to exposur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which is behind the superficial reality. In addition, the stylistic features constitute the structural identical shape with the allegoristic world that alludes the natural form of the human reality. Using the way that expands the episodic novels into the all over the realistic world, this work molds the systematic worldwide in which the social structure and novel form homologize.
    Therefore, in the novel, the developments with the oppressive forms from the 'an electric light' to the 'the wall of the romor' homologize structurally with the phas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gone through from the paternal governing system in our traditional society via Korean war and ideological conflicts to the social structure with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It proves that the novel style becomes the metaphor for the writer's realistic and social recogn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