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世紀의 寺刹 壁畵 硏究- 一般繪畵를 中心으로 - (A Study of 19th Century Buddhist Temple Murals - Focussing on Non-Buddhist Imagery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12
23P 미리보기
19世紀의 寺刹 壁畵 硏究- 一般繪畵를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38호 / 139 ~ 161페이지
    · 저자명 : 최경현

    초록

    조선시대의 불교는 임진왜란 이후 중흥을 도모하면서 유교의 孝사상은 물론 現實求福的 성격이 강한 민간신앙도 적극 수용하는 通佛敎的 입장을 취하였다. 이는 사찰 경내의 뒷편에 민간신앙이 반영된 七星閣을 비롯해 獨聖閣, 山神閣이 건립되기 시작한 것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왜냐하면 이들 전각에 봉안되거나 그려진 칠성, 독성, 산신은 불교 존상보다 위계질서는 아래이지만 得男·財福·長壽를 기원하는 민간신앙이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불교가 19세기로 갈수록 기복신앙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면서 일반회화의 비중이 사찰 벽화에서 극대화된 것도 동일한 의미맥락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전하는 남한의 사찰 벽화를 분석한 결과 19세기 이전에는 전각의 주요 벽면을 불교 존상도로 장엄하고 부속 공간에는 공양적 성격을 지닌 화훼화와 화조화를 비롯해 나한도, 산수도 등이 그려지는 것이다. 하지만 19세기에 이르면 사찰 벽화에서 일반회화의 비중이 극대화되었고 현전하는 남한과 북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사찰 벽화에 가장 많이 그려진 일반회화는 장수·부귀·복록 등의 길상적 의미를 지닌 도석인물화이며 다음으로는 길상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지닌 민화풍의 화훼화와 화조화 중국 고사나 통속 소설의 내용을 소재로 그린 고사인물화, 선종의 계보를 이은 조사들의 일화를 표현한 그림 순서로 그려졌다는 것이다. 현전하는 사찰 벽화 가운데 도석인물화가 다수 남아 있는 대표적인 예는 남한의 麻谷寺 대광보전과 북한의 安佛寺 극락보전이며 민화풍 화훼화와 화조화가 벽면을 장엄한 예로는 남한의 해인사 명부전과 북한의 보현사 영산전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선종 조사의 일화가 그려진 벽화는 남한의 신륵사 극락전과 북한의 금강사 백화전 등에 남아 있다.
    이밖에 남한 지역에서 민화풍의 화훼 화조화와 고사인물화가 사찰의 내외부 벽면에 가득 그려져 있어 ‘民畵의 寶庫’라 할 수 있는 통도사 명부전, 화훼도와 화조도가 내외부 벽면을 장엄한 관룡사 약사전은 기복신앙처로서의 성격이 극대화된 경우로 특히 주목된다. 이러한 양상은 19세기의 남한 지역이 북한 지역보다는 경제적으로 안정되면서 좀 더 다양하게 발달했던 대중문화가 사찰 벽화의 제작에 적극 반영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19세기의 사찰 벽화에서 비중이 극대화된 일반회화는 불교가 백성들의 기복신앙으로 정착되었음을 알려주는 시각적 이미지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 Joseon Buddhism attempted a revival. The religion took an open stance, embracing not only the Confucian philosophy of filial piety but also folk beliefs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seeking of blessings for the present life. This is further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buildings such as chilseonggak (七星閣 Big Dipper hall), dokseonggak (獨聖閣 lonely saint hall) and sansingak (山神閣 mountain god hall), reflecting folk beliefs, began to be built towards the rear of temple precincts at this time. The Big Dippers, lonely saints and mountain gods enshrined or painted in these halls were folk deities, albeit lower in status than Buddhist deities, worshipped by those praying to bear sons, acquire wealth and good fortune, and enjoy long lives. As the 19th century progressed, Buddhism cemented its position as a blessing-seeking religion and an ever greater proportion of non-Buddhist imagery was accepted in temple murals; this is thought to be of similar significance.
    Analysis of murals in pre-19th century Buddhist temples in South Korea shows that images of Buddha were painted on important walls, while other spaces featured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devotional in character; eminent monks; landscapes. By the 19th century, however, the content of non-Buddhist imagery in temple murals had been maximized. Analysis of examples in today’s South and North Korea confirms the following facts: These pictures most often featured images of Taoist and Buddhist immortals and deities, with strongly auspicious meanings including long life, wealth, honor and high social status. These were followed in terms of frequency by folk painting-style images of flowers and birds, simultaneously symbolizing good fortune and serving decorative purposes; then images of characters from Chinese ancient histories and popular novels; then images of founders of the Zen school. Leading examples of paintings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s among extant temple murals include those on daegwangbojeon hall at Magoksa Temple in South Korea and those on the geungnakbojeon hall at Anbulsa Temple in North Korea. Examples of bird and flower paintings include those on the myeongbujeon hall at Haeinsa Temple in South Korea and the yeongsanjeon hall at Bohyeonsa Temple in North Korea. The geungnakjeon hall at Silleuksa Temple in South Korea and the baekhwajeon hall at Geumgangsa Temple in North Korea, meanwhile, show images of the founders of the Zen school.
    In South Korea, the myeongbujeon hall at Tongdosa Temple, the exterior and interior walls of which are sufficiently rich in folk painting-style images of flowers, birds and historical figures to be regarded as a treasure trove of folk painting, and the yaksajeon hall at Gwallyongsa Temple, decorated on the inside and outside with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are notable as examples of places where blessing-seeking faith had reached a peak. This phenomenon is understood to have manifested itself amid increased production of more diverse temple murals as the region that is today’s South Korea developed greater economic stability in the 19th century than northern reg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non-Buddhist images, the content of which was maximized in 19th century temple murals, are highly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visual indications of the way Buddhism was established as a blessing-seeking religion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