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白衣觀音壁畵의 圖像과 信仰 硏究 (The Iconography and Cult of White-robed Guanyin in Late Jose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0.03
35P 미리보기
朝鮮後期 白衣觀音壁畵의 圖像과 信仰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5권 / 265호 / 197 ~ 231페이지
    · 저자명 : 유경희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찰의 중심전각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약 10여 점의 백의관음도를 통해 조선시대 백의관음 도상의 특징과 신앙, 양식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심을 두었다. 대략2m 남짓한 후불벽 뒷면의 공간은 일반적으로 법당 내의 장엄과 예배를 위한 준비공간으로, 혹은 보조·정리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는 이 공간을 또 다른 신앙공간으로 활용하면서 그 예배의 주체자로 백의관음을 가시화한 현상이 등장한 것은 주목을 요하고 있다.
    조선 후기 불경의 간행은 사찰의 승려들이 주도하였다. 이 전적들은 당시 중국에서 입수한 명말청초에 새롭게 편찬·간행된 것이었으며, 이 전적들이 다시 편찬·언해 등의 찬집을 거쳐 조선후기 사회에 유통되었다. 백의관음 신앙은 당시 조선 후기의 득남을 희구하는 조선 사회에 널리 퍼져 신앙되었던 것 같다. 당시의 관음경전과 김만중의 소설『사씨남정기』를 통해 백의관음은 아이가없는 사람에게 아들을 주는 신앙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경전이라는 종교적인 영역을 넘어 소설 속에서 그러한 요소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은 그러한 신앙이 사회 저변에서 신앙되고 있다고판단된다.
    후불벽 이면에 그려진 백의관음도는 원래 조선 전기부터 18세기까지 관음보살도의 주제로 가장 빈번한 조성 예를 보인 수월관음도상으로부터 출발하여 백의관음의 유행과 함께 수월관음도상에 백의가 입혀진 것으로 생각된다. 경남 창녕 관룡사 대웅보전에 봉안된 수월관음벽화는 18세기주불전 후불벽 이면에 조성되었던 수월관음도상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후 백의관음 신앙과 관음경전의 영향에 따라 관음보살 도상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후불벽 이면 벽화에도 백의관음 도상이적용되게 되었다.
    후불벽 이면 관음벽화는 대체로 18세기 이후에 조성되고, 이후 후보된 경우가 다수라고 생각되는데 도상에 있어서는 당시 유행되었던 관음경전 변상의 영향을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관음경전인『천수경』의 지송을 강조한『관세음보살지송영험전』권두 변상이나『불정심다라니경』변상도와 같이 관음도의 배경에 암굴과 암좌가 아닌 연화형 배경이 많이 등장하게 된 것도 이 두 경전의 영향력이 감지되고 있다.
    후불벽 뒷면 벽화의 경우 대부분 채색에서는 근래 보수한 경우가 많아 원형의 채색이 어느 정도였는지 가늠하기가 힘들었고 또한 기록된 조성연대가 확인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양식적인 특성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이러한 벽화의 조성과 관련된 편년문제, 실제로 행했던 의식 등은 추후 보완할 것이다. 이 글을 조선 후기 백의관음벽화의 시고라고 생각하며 이후 개별적인 백의관음벽화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과 편년문제를 더하여 총체적인 연구로 발전시킬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iconographic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s of Whiterobed Guanyin (or Avalokiteshvar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s well as the associated Guanyin cult. Portraits of White-robed Guanyin are frequently found on the rear walled-in sanctuary of the main prayer hall in Joseon-period Buddhist temples. The main prayer hall of Joseon temples often had an extra space behind its walled-in sanctuaty, usually about 2M width,which was used for preparing for worship services or stowing away ritual supplies after a service.
    Interestingly, once into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pace came to be used as a separate worship area reserved for the cult of White-robed Guanyin Bodhisattva.
    In late Joseon,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mainly on the initiative of monks. Most scriptures printed during this period were re-editions of newly-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late Ming to the early Qing Dynasty, accompanied by their vernacular translation to make them readable to the wider Joseon population. As for the White-robed Guanyin cult, it appears to have gained popularity around this same period, as a means to obtain male offspring. Both Guanyin sutras and Sassi Namjeonggi, a novel by Kim Man-jung dating from this period, attest to the popular perception of White-robed Guanyin as a deity granting male offspring to those who have been denied one. The fact that the White-robed Guanyin cult is mentioned in lay literature like novels is quite a testimony to the breadth and depth of its reach in Joseon society.
    Portraits of White-robed Guanyin, mostly found on the rear walled-in sanctuaty of Buddhist prayer halls, appear to have derived from Water-Moon Guanyin Bodhisattva, the most popular of Avalokiteshvara portraits until the 18th century. It is likely that White-robed Guanyin was simply Water-moon Guanyin Bodhisattva clad in white. The portrait of Guanyin Bodhisattva housed in Daeungbojeon (Bejeweled Hall of Shakyamuni Buddha) of Gwanlyongsa Temple in Changnyeong, Gyeongnam, is a great example of 18th-century representations of Water-Moon Guanyin Bodhisattva, found on the rear walled-in sanctuaty of a main prayer hall. In subsequent eras,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White-robed Guanyin cult, coupled with the influence of Guanyin sutras, came to largely reshape the iconography of Guanyin Bodhisattva. The appearance of the portraits of White-robed Guanyin on the rear walled-in sanctuaty of Buddhist prayer halls was precisely a consequence of this renown.
    Most Guanyin murals on the rear walled-in sanctuaty of prayer halls appear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18th century and later, even if they were retouched or updated subsequently.
    These murals also appear to have been subjected to the iconographic influence of illustrations in Guanyin sutras. The frequently flourished, lotus blossom-filled backdrops of Guanyin portraits,instead of an austere rock cave, for example, have their origin in such images as the illustration at the front page of‘Gwanseeum Bosal Jisong Yeongheomjeon,’the section of the Cheonsu Sutra (Thousand Hand Sutr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hanting Buddhist scriptures, and illustrations in the Buddha Summit Dharani Sutra (Buljeongsim Daranigyeong).
    Meanwhile, as the vast majority of these rear walled-in sanctuaty murals portraying Whiterobed Guanyin have been repaired in recent decades, it is rather difficult to determine their original coloring. Also, given the nearly complete absence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ir dates of creation, it is well-nigh impossible to trace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back to precise sources of influence. Hence, more research is needed concerning the dates of creation of white-robed Guanyin murals, as well as the details of worship services performed in this space reserved for Guanyin devotion. Future research should improve on this study, which is but a small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late-Joseon White-robed Guanyin murals, by examining individual murals in detail, with regard to their iconographic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date of creation, at the same time as trying to provide a clearer overall picture of this genr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