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NDC 모델을 활용한 공통사회경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국내 벼 재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시공간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domestic rice cultivation sector by according to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scenarios using the DeNitrification-DeComp)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12
11P 미리보기
DNDC 모델을 활용한 공통사회경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국내 벼 재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시공간적 변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후변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15권 / 6호 / 1039 ~ 1049페이지
    · 저자명 : 김준, 김휘진, 이수종, 조현우, 이우균

    초록

    Rice cultivation is a significant source of methane emissions,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the agricultural sector's greenhouse gas inventory.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Nitrification-DeComposition (DNDC) model to sim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ice paddies in South Korea, analyzing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under variou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climate scenarios. Our results indicate that soil organic carb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riving emissions, with regions rich in organic carbon showing the highest levels of methane emissions. Under the SSP1-2.6 scenario, which assumes strong climate mitigation efforts, emissions increase slightly in early decades (2030s ~ 2050s) but stabilize in later decades (2050s ~ 2070s). In contrast, the SSP5-8.5 scenario, characterized by minimal climate action, projects a significant rise in emissions throughout the 21st century. Spatial analysis reveals that regions with high emissions per hectare do not necessarily have the highest total emissions, as total emissions are also influenced by the extent of cultivated land. Traditional rice-growing regions along the west coast, despite lower per-hectare emissions, show higher total emissions due to their larger cultivation area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rgeted mitigation strategies that address both emission intensity and scal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oil organic carbon management. Our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olicies aimed at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hile maintaining productivity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영어초록

    Rice cultivation is a significant source of methane emissions,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the agricultural sector's greenhouse gas inventory.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Nitrification-DeComposition (DNDC) model to sim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ice paddies in South Korea, analyzing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under variou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climate scenarios. Our results indicate that soil organic carb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riving emissions, with regions rich in organic carbon showing the highest levels of methane emissions. Under the SSP1-2.6 scenario, which assumes strong climate mitigation efforts, emissions increase slightly in early decades (2030s ~ 2050s) but stabilize in later decades (2050s ~ 2070s). In contrast, the SSP5-8.5 scenario, characterized by minimal climate action, projects a significant rise in emissions throughout the 21st century. Spatial analysis reveals that regions with high emissions per hectare do not necessarily have the highest total emissions, as total emissions are also influenced by the extent of cultivated land. Traditional rice-growing regions along the west coast, despite lower per-hectare emissions, show higher total emissions due to their larger cultivation area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rgeted mitigation strategies that address both emission intensity and scal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oil organic carbon management. Our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olicies aimed at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hile maintaining productivity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후변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