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MODIS 전천후 기상자료 기반의 생물리학적 벼 수량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Biophysical Rice Yield Model Using All-weather Climate Dat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7.10
12P 미리보기
MODIS 전천후 기상자료 기반의 생물리학적 벼 수량 모형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원격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33권 / 5호 / 721 ~ 732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혜, 서범석, 강신규

    초록

    벼 등 식량작물 작황 추정의 경제, 산업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리 모형과 원격탐사 기반의위성자료를 활용한 작황 추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 기반의 전천후 기상 입력자료(i.e. 기온, 대기 수증기압 포차, 일사량)와 빛 이용효율 모형을 이용한 생물리적 작물 성장 알고리즘을 벼에 적용하여 벼의 수확량을 수확 시기 보다 이르게(9월 중순 경)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 12년간 경상권을 제외한 국내의 군 단위 행정구역별 벼 수확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계청에서제공하는 현미 생산량 통계와 비교, 평가하였다. 벼 건중량, 수확지수 그리고 수확량 추정 결과는 각각 지도로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전국 평균 추정 건중량은 평균오차(ME)가 0.56%, 평균절대오차(MAE)가 5.73%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도별 군 단위 건중량은 ME가 0.10%에서 2.00%, MAE가 2.10에서 11.62%의 범위를 보였다. 추정된 건중량은 강원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과대 모의하고, 충청이남의 도심과 서해 인근지역에서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과 유관한 통계청 자료(i.e. 볏짚 생산량)와는 상반된 변동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입력자료의 해상도(1 km)로 인한 픽셀 내 토지피복 이질성으로 인한 오차로 사료된다. 또한 생육기간 이후 수확시기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을 향후 연구에서개선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importance of rice as a global staple food, sever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rice yield estimation by combining remote sensing data with carbon cycle modell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imate rice yield in Korea using such an integrative model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in combination with a biophysical crop growth model. Specifically, daily meteorological inputs derived from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radar satellite products were used to run a light use efficiency based crop growth model, which is based on the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algorithm. The modelled biomass was converted to rice yield using a harvest index model. We estimated rice yield from 2003 to 2014 at the county level and evaluated the modelled yield using the official rice yield and rice straw biomass statistics of Statistics Korea (KOSTAT). The estimated rice biomass, yield, and harvest index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s were investigated. Annual mean rice yield at the national lev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yield statistics with the yield statistics, a mean error (ME) of +0.56% and a mean absolute error (MAE) of 5.73%. The estimated county level yield resulted in small ME (+0.10~+2.00%) and MAE (2.10~11.6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unty-level yield statistics, the rice yield was over estimated in the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nd under estimated in the urban and coastal counties in the south of Chungcheong province.
    Compared to the rice straw statistics, the estimated rice biomass showed similar error patterns with the yield estimates. The subpixel heterogeneity of the 1 km MODIS FPAR (Fraction of 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may have attributed to these errors. In addition, the growth and harvest index models can be further developed to take account of annually varying growth conditions and growth tim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원격탐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