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스 벨팅의 종교미술 연구: 도상에서 기능으로 (Hans Belting's Studies on Icon: From Meaning to Func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7.10
18P 미리보기
한스 벨팅의 종교미술 연구: 도상에서 기능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6호 / 92 ~ 109페이지
    · 저자명 : 신준형

    초록

    종교미술 연구는 도상적 ‘의미’의 이해에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 왔다. 그러나 ‘파노프스키 이후’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종교미술이 비의적 텍스트로서뿐 아니라 영적 체험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기능’해 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한스 벨팅의 아이콘 연구는 기독교 미술뿐 아니라 모든 종교미술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주목할 만한 선례를 남겼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brings to light Hans Belting’s thesis on icon and its art historical contribution in the Post-Panofskian era. My discussion focuses on two of his major works, Image and its Public in the Middle Ages (New Rochelle, New York, 1990; German original published in Berlin, 1981) and Likeness and Presence: a History of the Image before the Era of Art (Chicago, 1991; German original published in München, 1990). These works, both translated into English, have been widely circulated and read among the academic communities beyond the field of art history, turning his name into THE authority on the issue of icon. The historians of religious art usually point out as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he way Belting narrated the comprehensive history of icon by connecting successfully its Eastern prototypes to their offshoots in the West. This aspect indeed is very significant, given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our academic field where the Western European and the Byzantine art histories are deemed as separate specialties. On the other hand, I see as the most important that Belting discussed icon not in search of the mystified “latent meaning” of Panofskian iconography, but as regards its function in the context of liturgical and para-liturgical devotion. Furthermore, he widened the scope of icon’s function from the mere receptacle of our veneration to the manifestation of the presence of the holy. For criticism, I have to point out that such an ambitious attempt to write a meta-history of icon, literally from its beginning to the end, is inevitably prone to generalization and thus vulner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