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흐친 시학의 관점에서 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세컨드핸드 타임: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 (Svetlana Alexievich's "Second Hand Time: The End of Homo Sovieticus" from the perspective of Bakhtin's poetic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바흐친 시학의 관점에서 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세컨드핸드 타임: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3권 / 1호 / 161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숙

    초록

    본 고에서는 알렉시예비치의 대표작『세컨드 핸드 타임: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를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바흐친의 시학을 중심으로,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러시아 문학의 전통인 영원한 문제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알렉시예비치의 작가는 텍스트 안으로 들어와 등장인물들과 마주한 청자, 곧 바흐친이 말한바 ‘외재성’, ‘타자성’을 지닌 타자로서,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삶을 재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정당화하고 더 나아가 예술적인 미적 차원으로 승화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렉시예비치의 작가 자신이 등장 인물에게 대화적으로 말을 걸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발화를 텍스트라는 하나의 의미 평면에 병치함으로써 서로에게 말을 걸고 응답하고 대화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하나의 사건에 여러 인물의 다성적인 목소리를 도입하거나 다성적인 목소리를 한 인물의 내면을 그려냄으로써 서사의 웅장한 코러스를 만들어내고 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이 작품은 가장 시의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러시아 문학에서 끊임없이 논의되어 온 영원한 문제 곧, 사회 정의의 문제, 고통과 구원의 문제, 유토피아의 문제, 역사의 방향성 문제 등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이를 통해 인간성을 파괴하는 모든 부조리에 저항하면서 고통받은 인간의 내면에 말을 걸고 구원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Svetlana Alexievich’s Second Hand Time: The End of Homo Sovieticus is reviewed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in order to clarify the principle that Alexievich's work is read as an artistic and creative chorus even though it is a first-person monologue. In terms of formality, this work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oncepts of ‘authority’, ‘dialogue’, and ‘polyphony’ of Bakhchin's poetics. In terms of content, I tried to reveal that Alexievich is not only a descendant of Bakhchin's poetics, but also a writer in the tradition of Russian literature by looking at how the ‘eternal problems’, the long tradition of Russian literature, are dealt with.
    As examined in this paper, it can be said that Alexiyevich's writing strateg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First, Alexievich's writer is different from Bakhchin's writer like ‘Creator’, who is ‘active formation energy’ with ‘creative productivity’ and ‘bearer of unity’. However, these two writer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the other with 'outsiderness' and 'otherness', that allow the characters to reinterpret their lives, give meanings, justify them, and further sublimate them into an artistic and aesthetic dimension.
    Second, Alexievich's writer is talking to the characters in a conversational way, even though she has his own valuation. She creates a magnificent chorus by letting the charact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a single meaning plane of text. Moreover, the intersection of various voices that do not agree with each other adds aesthetic tension and abundance to the work, making the work aesthetically complete.
    Third, the artist ensures the concreteness and truthfulness of the statement and approaches historical truth by treating a huge and narrative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Of course, the artist has his own valuation, and the artist's intention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iterary materials and editing. However, she is creating a polyphonic collage by introducing a polyphonic gaze to a single event or drawing a character with a polyphonic view.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akhchin's concept of polyphony is well realized by allowing the characters to speak freely with their own values without being controlled by the artist's intentions.
    In terms of content, this work reflects on the most timely and historical events such as World War II, Stalin Great Purge,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it deals in depth with eternal issues that have been constantly discussed in Russian literature, such as social justice issues, pain and salvation issues, utopia issues, and historical direction issues. Some accuse her of deliberately revealing the uncomfortable truth of Russia, but rather than trying to condemn a particular system or society, she tried to resist all the absurdity that destroys humanity, talk to the inner side of suffering humanity, and seek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Alexievich's work is thought to be the most persuas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literature can do now that national disasters such as war, terrorism, nuclear explosions, ethnic conflicts, earthquakes and fires have become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