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헨리쿠스 간다벤시스의 형이상학적 신 개념에 대한 고찰 (Henry of Ghent’s Metaphysical Concept of G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05
42P 미리보기
헨리쿠스 간다벤시스의 형이상학적 신 개념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9호 / 205 ~ 246페이지
    · 저자명 : 임지연

    초록

    헨리쿠스 간다벤시스는 신의 본질과 존재에 대한 긍정적인 앎을구성하고자 형이상학적 신 존재 증명을 제시한다. 헨리쿠스는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뿐만 아니라 토마스 아퀴나스가 제시한 후험적 증명의 한계를보임으로써, 자신만의 증명을 끌어낸다. 헨리쿠스는 안셀무스로 대변되는 존재론적신 존재 증명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는 ‘신’ 개념을 통해 신의 완전한 존재가인간 정신에 자명하게 알려지는 것은 아니라 주장한다. 신 개념에 포함된 신의 존재는 누구에게나 아무런 노력 없이 손쉽게 알려지는 지식이 아니다. 오히려 지성의다양한 노력을 통해 주어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헨리쿠스는 다섯 가지 길로 일컬어지는 후험적 신 존재 증명을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헨리쿠스는 후험적증명에 만족하지 못하고, 신의 존재에 관한 자신의 고유한 형이상학적 증명을 새로이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헨리쿠스의 형이상학적 신 존재 증명을 분석하고, 이를통해 헨리쿠스가 어떻게 신에 관한 긍정적인 앎을 옹호했는지 제시할 것이다.
    헨리쿠스가 형이상학적 증명을 새로 제시한 이유가 무엇인가? 그는 후험적 신 존재증명이 감각적인 사물들을 매개로 삼는 추론적 인식임을 들어, 자연학에 적합한신 존재 증명이라 주장한다. 후험적 신 존재 증명을 통해 밝혀지는 신은 창조된사물과의 관련성 안에서만 고찰된 ‘원인’(창조주)으로서의 신이다. 반면 헨리쿠스가새로 제시한 형이상학적 신 존재 증명은 초월주 개념들로부터 창조된 사물들이 지닌 모든 결함과 불완전성을 추상함으로써, 신에 관한 고유하고, 본질적인 인식을도출한다.
    이러한 점에서 형이상학적 증명과 존재론적 증명이 갖는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다.
    헨리쿠스에 따르면, 존재론적인 증명의 문제점은 인간 정신이 신의 개념을 이해한즉시 신의 고유한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헨리쿠스는 신에게 적합하게 속하는 존재와 본질이 인간에게 그 자체로 자명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는인간이 오직 초월주에 관한 여러 단계의 추상을 통해서만, 점차 명료하게 신의 고유한 존재와 본질을 알게 된다고 주장한다. 헨리쿠스는 형이상학적 신 존재 증명을통해, 불완전하고, 혼동되는 신 개념에서 출발하여, 보다 전개되고 명시적인 신 인식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이렇게 이해된 신의 존재는 필연적이고, 자존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는 형이상학적 존재 증명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언어로 불완전하지만 유의미하게 신을 표현할 수 있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Henry of Ghent, who was a theologian and philosopher in the late thirteenth century, asserts the possibility of the a priori knowledge of God. Even though he admits the validity of a posteriori proofs of God known as “five ways,” he attempts to pave another way to know God and His existence. He considers the a priori knowledge of God to be ‘a better way’ for the knowledge of God in comparison to the a posteriori proofs. Moreover his unique way of proving God’s existence complements limits found in the onthological proof. The onthological proof depends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cept of God includes the self-evident knowledge of His proper existence, Necesse esse. Consequently, once we apprehend what God is, we immediately get to know His existence. However, Henry doens’t agree with this idea. Henry argues that we cannot get a proper knowledge of God’s existence and essence without reflecting the confused and indistinct idea of God. Our minds cannot comprehend or define God’s essence and His mode of being. We need to develop our primitive notion of God into an elaborate one. In this sense, he denies the self-evident knowledge of God’s existence.
    Moreover, he argues that the a posteriori proofs of God are tasks assigned to a natural philosopher rather than a metaphysician. The existence of God proved by a natural philosopher turns out to be a ‘cause’ or ‘creator’ of all creation. In contrast, the a priori knowledge of God is a proper cognition of God accepted by abstraction of transcendentals such as ens, bonum, verum etc.
    Henry said that these are the first known concepts to the human intellect as long as they are simple and non-complex notions. Henry explains that by abstracting all the defects and imperfections from these concepts, one can acquire the proper quidditative knowledge of God. Without any kinds of composition and diversity, considered as creatures’ defects, the quidditative knowledge has no distinction at all within itself among God’s essence, existence and His perfections. Clarifying a procedure of the acquisition of the a priori cognition, Henry explains how human cognition in general develops itself from non-complex and confused one to specific and distinct one. Human intellect, first, understands indeterminate things over determinate things according to its nature. In this respect, the higher the degree of indeterminacy is in objects of the intellect, the better the intellect apprehends them. Indeterminate objects are prior to determinate ones in considering the nature of human cognition. Henry points out that the idea of God eliminates any kind of determinacy. In this sense, he regards God as “negative indetermination.” In the case of creatures’ universal perfections, they have possibilities to be limited and shared into various individual perfections. In other words, the perfections proper to creatures are called “privative indetermination.” God as the negative indeterminacy is more undetermined than creatures’ privative indetermination. Consequently, Henry argues that God is the first thing apprehended by the intellect and the principle of our cognition. However, we can’t consciously recognize the notion of God as the first known. This preliminary notion of God has to be developed as a clear and proper knowledge of God by the metaphysical proof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