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똔 체홉 “벚꽃 동산”의 희극성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 스크립트 대립 이론과 그라이스 격률을 기반으로- (Analysis on Anton Chekhov’s comedy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1.08
35P 미리보기
안똔 체홉 “벚꽃 동산”의 희극성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 스크립트 대립 이론과 그라이스 격률을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어 연구 / 16권 / 2호 / 289 ~ 323페이지
    · 저자명 : 정정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똔 체홉의 작품 “벚꽃 동산”에서 드러나는 희극성을 래스킨의 대조적 스크립트 이론과 그라이스의 대화 격률 이론을 통해 언어학적으로 고찰해보았고, 이를 통해 몇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체홉의 초기 단편들에서 드러나는 희극성은 파불라 자체의 희극성과 반복과 대조를 통해 미시텍스트 내에서 발견되는 대조의 희극성이었다면, 체홉의 후기 희곡 “벚꽃 동산”에서 감지되는 희극성에는 반복과 대조를 통한 의미론적 차원의 희극성 이외에 특정한 맥락 안의 인물들의 대화 속에서 발생하는 화용론적 차원의 희극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 작용하는 유머 기제는 무엇보다도 대화 격률의위반에서 비롯된다. 즉 연극의 등장인물은 양의 격률, 질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 방법의 격률 중 하나를 위반하게 되며, 이것은 코믹 효과를 유발하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한다.
    둘째, 이러한 각각의 격률 위반은 특정한 인물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예를 들어 쓸데없는 말을 많이 하는 수다스러운 가예프는 반복적으로 양의 격률을 위반하며 다른 등장 인물로부터 비난을 받는다.
    어눌하고 두서없이 말하는 삐쉬칙은 “명료하게 말하라”는 방법의 격률의 대전제를 반복적으로 위반하며, 엉뚱한 실수를 저지르는 예삐호도프는 자신의 신체 언어를 통해 “두서 있게 말하라”는 방법의 격률을 반복적으로 위반한다. 하인 피르스는 다른 사람들이 알아 듣지 못하게 중얼거리며 “명료하게 말하라”는 격률을 위반하며, 가는 귀가 먹어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아듣지 못하거나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말을 하면서 “관련성 있게 말하라”는 격률을 위반하는데, 이 또한 매우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화 격률의 위반은 코믹 효과를 유발함과 동시에 각각의 캐릭터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그라이스가 주장한 바와 달리, 청자와 화자가 격률 위반 시 항상 협력의 원리를 지키는 것은 아니다. 격률은 위반되지만 협력 원리는 지켜지는 경우도 있고, 격률 위반과 동시에 협력원리 또한 위반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화자의 인코딩의 문제이기도 하고 청자의 디코딩의 문제이기도 하다.
    화자의 측면에서 격률을 위반하면서 협력 원리를 지키는 경우는 질의 격률을 위반하며 과장된 농담을 하거나 반의적으로 말할 때, 방법의 격률을 위반하며 장황하게 말하면서 정중함을 표현하고자 할 때, 화자가 말하고 싶지 않거나 청자가 듣고 싶어하지 않을 내용을 피해 돌려 말하며 관련성의 격률을 위반할 때 나타난다. 한편 화자의 측면에서 격률을 위반하면서 협력 원리 또한 지키지 않는 경우는무의식적인 관련성 격률 위반과 습관적인 양의 격률 및 방법의 격률 위반 그리고 거짓말을 통한 질의 격률 위반과 같은 경우에 발견된다.
    격률 위반에 함축된 의미를 인지한 청자가 화자의 발화의도를 성공적으로 간파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선택한다면 성공적인 의사소통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한편 청자가 고의적으로 암시적인 협력 요청을 무시하거나 그 협력 원리 혹은 협력 요청을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의사소통의 단절이 발생한다.
    하지만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화자가 본의 아니게 격률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 청자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는 함축을 해석하거나 화자의 의도를 알아낼 수 없고, 본질적으로 협력 원리를 지킬 수가 없다.
    넷째, 그라이스의 대화 격률 위반이 코믹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아니다. 대화격률 위반뿐 아니라 이 작품의 샤를로따와 같은 코믹한 캐릭터의 등장이나 의미의 대조, 동음이의어의 사용으로도 웃음이 유발되며, 음성학적 차원에서도 웃음은 발생한다. 한편 대화 격률을 위반한다 하더라도 웃음이 유발되지 않는 경우 또한 물론 존재한다. 하지만 대화에서 발생하는 웃음은 많은 경우네 가지 대화격률의 위반 여부를 통해 설명할 수 있으므로, 대화격률 분석은 희곡의 희극성 분석의 중요한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
    다섯째, 초기 단편에서와 달리 “벚꽃 동산”의 파불라에서 희극성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하여, 이 작품에 미시 텍스트적인 유머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벚꽃 동산”의 거시 텍스트적인 유머는 미시 텍스트 내에서의 비정상적인 대화 패턴들이 켜켜이 쌓여 발생하는 희석된 총체적 희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희극성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대화와 행동의 주체인 등장인물들 자신은 이러한 여러 가지 에피소드 속의 유머를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들의 행동과 상황에 약간의 거리를 두고 관찰하는 독자 혹은 관객은 그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만들어내는 비정상적인 대화 패턴 및 의사소통의 부재,아이러니한 상황을 보며 웃게 된다. 클로즈업된 등장인물 각각이 경험하는 감정뿐 아니라 줌아웃하여 상황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독자와 관객의 입장에서 느끼는 이러한 작품의 총체적 희극성은 우리인생과의 유비를 통해서 좀 더 강화된다. 즉 체홉 희곡의 희극성은 우리 자신과 타인의 인생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둔 관찰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희극성과 유사점을 보이며, 표면적이고 즉각적이고 노골적인 웃음을 제공하는 전형적인 희극 작품들과 차별화되는 다른 차원에 숨겨진 깊은 유머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paper is devoted to the analysis on Anton Chekhov’s comedy “The Cherry Orchard”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the comic effect is derived from the unexpected opposition of two different concepts, referents or situations, caused by contrastive scripts such as actual vs. non-actual scripts, possible vs. impossible scripts, normal vs. abnormal scripts.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comic effects can be explained by the flouts of Gricean maxims of conversations, namely, the Maxim of Quality, the Maxim of Quantity, the Maxim of Relation and the Maxim of Manner.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mic effects of Chekhov’s “The Cherry Orchard” I came to the conclusions as follow.
    First, Anton Chekhov's early short stories reveal humorous tones though the oppositions of different scripts, whereas the comic effects of his later play “The Cherry Orchard”come not only from the semantic contrast but also from the violation of pragmatic norms, that is, the flout of Gricean maxims of conversation.
    Second, the flout of each Maxim is closely related to characters’ individualities and personalities.For example, Gaev tends to violate the Maxim of Quantity, while Pishchik and Epikhodov frequently violate the Maxim of Manner and the servant Firs usually flouts the Maxim of Manner and the Maxim of Relation.
    Third, it is notable that, despite Grice’s claim,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do not always observe the Cooperative Principle in the real conversations, when the Speaker violates the maxims of conversation. Consequently, a violation of the conversational maxims does not always mean an existence of the Speaker’s intention or the Addressee’s successful interpretation of an intend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either.
    Fourth, although the flouts of the Maxims are not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comic effect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humorous tone and comic effects in dialogues.
    Fifth, the core of “The Cherry Orchard”s humorous atmosphere is based on the accumulated ironies of undesirable conversation patterns caused by violated Maxims of conversation. The characters in the play may not feel this irony, but the readers and the audience can feel it, noticing the frequent ridiculous miscommunications. Thus the different level of humor is revealed in this play, and that is why Anton Chekhov named “The Cherry Orchard” a come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브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