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병합조약의 국제법적 기원과 국제적 승인문제: 일본의 ‘헤이그 포비아(Hague Phobia)’와 ‘국제법 전쟁’ (The Origin of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 Japanese Hague Phobia and the Dispute on Treaty System)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8
44P 미리보기
한일병합조약의 국제법적 기원과 국제적 승인문제: 일본의 ‘헤이그 포비아(Hague Phobia)’와 ‘국제법 전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1호 / 399 ~ 442페이지
    · 저자명 : 최정수

    초록

    이 연구는 한일병합조약을 국제법의 관점에서 조명했다. 하나는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 동기가 무엇인가. 다른 하나는 병합 후 일본이 미국의 승인을 얻으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 두 가지 주제는 아직 국제법의 맥락에서 검토된 바 없다. 연구자는 본문을 3개의 장으로 나누어 살폈다. 제2장에서 헤이그협약, 가옥세중재재판사건, 러시아가 펼친 헤이그중재재판 기도 사건 등을 다루었다. 이들 사건이 한일병합조약의 법리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3장과 4장에서 일본이 한일병합 후에 미국으로부터 사후 승인받는 과정과 승인의 의미를 살폈다. 그것이 일본으로 하여금 계획 단계의 병합을 실제정책으로 드러나게 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 몇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일병합의 동기는 한국과 열강 간의 통상조약을 제거하는데 있다. 헤이그협약과 가옥세중재재판사건은 일본에게 한국문제를 국제재판에 회부하면 빼앗긴다는 공포감을 심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러시아가 실제로 그러한 음모를 수차례에 걸쳐 꾸밈으로써 일본은 마침내 행동으로 옮겼던 것이다. 그것은 바로 한국-열강의 중재재판청구권을 박탈하는 것이다. 한일병합조약으로 한국-열강의 통상조약을 폐기한다는 법리가 이렇게 하여 만들어 졌던 것이다.
    둘째, 한일병합조약은 미국의 승인을 얻어야만 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미국이 한일병합으로 한미통상조약은 폐기된다는 법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이 얻고자 한 것은 한일병합조약을 승인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일본의 조약침해를 헤이그중재재판소에 회부하지 말 것을 약속해 달라는 것이었다. 미국은 이를 수용했다. 일본이 미국의 이민금지를 용인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민배척법은 조약 위반이었다. 아시아인에게만 차별적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국제재판의 대상이었다. 이렇게 본다면 미국과 일본 간에는 다음과 같은 거래가 있었던 셈이다. 미국은 일본이 한미통상조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일본에게 약속하고, 일본은 이민문제가 미일통상조약을 위반했지만,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미국에게 약속한 것이었다. 요컨대 미국은 한일병합이 한미조약을 위반한데 대하여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정도의 약속을 미일통상조약 제5조를 통해서 표시한 것이다.
    셋째, 한일병합조약은 미일 간의 조약체제를 둘러싼 미래의 투쟁을 예고했다는 것이다. 한일병합조약에 담긴 조약개정원리는 ‘先 선언을 통한 구조약 파기, 後 신조약 수립’이었던 반면, 미국의 통상조약의 개정은 ‘선 협상을 통한 수정, 후 신조약 수립’을 조약개정의 원리로 했기 때문이다. 이후 일본은 대청 21개조 요구, 만주괴뢰정부를 통한 만주분리 시도, 중일전쟁 개시 등을 통해 한일병합조약의 원리를 확산시키려고 했고, 미국은 국제연맹규약, 부전조약, 문호개방조약 등을 통해 현행 조약개정원리의 준수를 요구했다. 양국 간의 국제법전쟁은 1939년에 이르러 미국이 미일신통상조약의 파기를 선언하고, 1946년의 전범재판에서 헤이그조약체제의 파괴를 기소 사유 중의 하나로 들었을 때 종식되었다.

    영어초록

    Why did Japan annex Korea in 1910? Why did Japan confront with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wo question throughly. My research consists of three parts: In part one and two, I asked that what caused Japan to do the treaty of annexation of Korea. Part three tried to find the cause of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Origin of the Annexation of Treaty Korea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 the nations have the right for peace resolution to the dispute between nations based on the Hague Convention(1899). The Powers can bring the international dispute on the commercial treaties between Korea and the Powers to Hague arbitral court since the Hague Convention. In other words, the commercial treaties between Korea and the Powers added in the right of access to Hague Arbitral Courts. Secondly, Japan feared the Hague Court, because Japan have had the bitter experience that the Hague Court decide the case on Japanese House Tax Arbitration against Japan. It ended in failure that Japanese plan of an unequal treaty revision is to take advantage of the Hague Court. Thirdly, Japan has been threaten from Russia to carry Korea question on the Hague arbitral court. It is the reason why Japan decide to annex Korea.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ring about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did damage to the U.S. commercial treaty right in Korea. It is prescribed in the U.S. constitution that treaty is supreme clause. If the government want to abrogate treaty, it should be ratified by the U.S. Senate. In other words, Japan couldn't nullify the U.S. treaty, the U.S. President couldn't too without the consent of the U.S. Senate. The U.S. government gave to Japan not legal recognition, and not diplomatical silence that implies consent. The U.S. silence implies to do not to expression in the opposition of annexation of Korea. In conclusion, the U.S. attitude toward Japanese annexation is abstention from the appeal to Hague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