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 통일 방안 (Suggestion on the Unification of the Romaniz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12
31P 미리보기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 통일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53호 / 47 ~ 77페이지
    · 저자명 : 고대영

    초록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19세기부터 확인된다. 1832년 지볼트(Siebold)의 표기법에서 시작하여 대략 27개의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이렇듯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여러 표기법이 혼용되었지만 분단 이전까지는 주로 머큔-라이샤워 표기법(1939)이 통용되었다. 분단 이후 남북의 어문 정책의 변화에 따라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던 중 ISO의 요청에 따라 1985년부터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이 시도는 합의안(1992)을 거쳐 ISO TR 11941(1996)안을 도출하였으나 결국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장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여러 번의 변화와 부침이 있었던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남한과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남한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법’(1948),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 그리고 현행 규정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이들 표기에 영향을 준 전통적인 로마자 표기법인 머큔-라이샤워법(1939)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편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56)”에 함께 수록된 ‘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의 제3장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 규칙과 “외국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1969)”의 ‘영어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 박재수(1999)에 소개된 전자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법(1985), 지명 표준화를 위한 제6차 유엔회의(Sixt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1992)에 제출된 북측의 ‘조선어의 로마자 표기 지침’(Guideline to the Romanization of Korean)의 표기법을 검토하였다. 남북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남북의 로마자 표기법 외에도 ISO의 요청에 의해 1992년에 만들어졌던 남북한의 첫 번째 합의안과 이 합의안이 UN 제출 전에 남북한의 의견 차이로 인해 남북한의 안이 갈라지면서 두 개의 방안을 병기한 ISO TR 11941까지 함께 검토하였다. 이는 남북한의 최초의 합의안이라는 의의와 함께 이후 남한의 현행 로마자 표기법(2000)에 큰 영향을 준 표기법이기 때문이다.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과 ISO 안의 검토를 통해 남북 로마자 표기법의 차이를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명세화하고 각 부분에 대한 통일안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s confirmed from the 19th century. Starting in 1832 with Siebold's notation, approximately 27 notations were used. Various Roman notations were used, but the Roman no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as used by Murtham-Reishower (1939) until division. After the divi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oman no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ue to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the request of ISO, however, unification of Roman no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as attempted from 1985. The attempt, however, led to a consensus (1992) and ISO TR 11941 (1996), but failed to come up with a unification of the Roman notat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unification plan for the Roman notation of the two Koreas, which has undergone such changes and ups and down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changes in the Roman not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irst of all, I reviewed the Roman notation of South Korea,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법(1948)’,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 and the current regulations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 Along the way, we also reviewed Murts-Riesshaw(1939), a traditional Roman notation that influenced these notations. On the other hand, I reviewed the Roman notation of North Korea,'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1956), '영어문자에 의한 조선어표기법(1969)', '전자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법(1985)', and the Sixt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In 1992, the notation of the 'Guideline to the Romanization of Korean' was submitted. In addition,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was made in 1992 at the request of the ISO, and the ISO TR 11941, were written together as the two Koreas split up due to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before the UN submission. This is because it is a notation that greatly influenced the current Roman notation of South Korea (2000)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review of the Roman notat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I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n and Roman notation were specified by consonants and vowels, and a unification plan was proposed for each p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