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증, 경험과 결정의 변증법 (Falsification, Dialectic of Experience and Deci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3.11
24P 미리보기
반증, 경험과 결정의 변증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28권 / 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보현

    초록

    이성론과 경험론은 상반되는 주장이다. 물론 양쪽 모두 일리는 있다. 그러므로 칸트가 양자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그것들 안에서 올바른 것들만 가려내어 결합하려고 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그는 경험적 적용조건과 관련을 맺지 못하는 관념이나 개념의 사용은 부당하며 심지어 무의미하기도 하다는 경험주의적 원리를 도입한다. 반면에, 그는 경험의 개별 내용이 보편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이성론자의 입장을 취한다. 과학적 지식의 형식적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그는 이성론에 선험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양보를 했는데, 포퍼가 보기에 그것은 너무 지나친 것이었다.
    포퍼 역시 이성론과 경험론을 조화시키려했다. 그는 과학이론은 고안된 보편 명제라는 점은 이성론자들에게 동의하고 그것이 특수 관찰명제들의 연언에 불과하다는 경험주의적 견해는 물리친다. 반면에 그는 이론의 운명을 결정짓는 것은 경험, 즉 실험의 결과라고 주장함으로써 경험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경험이 이론의 운명을 오직 부정적으로만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의 입장은 귀납주의와 다르다. 같은 맥락에서 그는 논리경험주의가 지지하는 귀납주의와 포앙카레와 듀앙 등의 규약주의를 종합했다고 볼 수 있다. 귀납주의자는 과학이론이 특수 관찰 명제들로부터 일반화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규약주의자는 그것이 그 안에 등장하는 개념들에 대한 위장된 정의로서 이 세계와 상관없이 임의로 결정된 규약이라고 주장한다. 포퍼는 경험만이 이론의 존폐를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점에서는 귀납주의자와 견해가 같다. 그리고 이론의 운명에서 결정이 중요하다는 규약주의적 견해를 지지하지만 결정되는 것은 기초명제이지 이론이 아니라는 점에서 규약주의자와 다르다.
    포퍼는 반증을 사용하면 귀납의 문제를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험주의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비가류적 경험을 요구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는 반증으로 경험을 고려하려 했으나, 그의 반증에는 경험을 위한 공간이 없다. 만약 반증이 이론이 틀렸다는 경험적 증명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만약 다른 이론을 믿는 과학자가 결정한 기초명제를 사용한 이론의 반박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상반된 두 이론 사이의 충돌에 불과하다. 전자의 경우라면 그는 경험주의자 또는 귀납주의자에게 너무 많이 양보한 것이고, 후자의 경우라면 반대로 규약주의자에게 양보한 것이다. 그러므로 포퍼는 경험론과 이성론 또는 귀납주의와 규약주의를 조화롭게 종합하는데 실패하고 말았다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

    영어초록

    Rationalism and empiricism excluded one another: there was naturally truth to be found in the opposing doctrine, and it was quite a matter of course that I. Kant attempted a critical synthesis of them, a combination of what is true in each. He adopts the empiricist principle that there can be no legitimate, or even meaningful, employment of ideas or concepts that does not relate them to empirical conditions of their application. He on the other side takes a rationalist stand recognizing the particular contents of experience as having some general character. In order to take account of the formal el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he yielded the possibility of synthetic a priori statements to rationalism, which, however, seems to K. Popper to have gone too far.
    Popper also tried to reconcile the antitheses in a higher synthesis, in which error should be purged away and justice done to the truth contained in the rival doctrines. He agrees with rationalists that scientific theories are universal statements obtained from thought and rejects the empiricist view that they are mere conjunctions of particular observation statements. On the other side he takes an empiricist position by holding that what ultimately decides the fate of a theory is experience, i.e. the result of a test, but differs from the inductivist in that he lets experience settle its fate only negatively.
    In the same vein, there may be said to be another synthesis worked out by Popper, the synthesis of inductivism supported by logical empiricism and conventionalism advocated by H. Poincaré, P. Duhem, etc. While the inductivist holds that a scientific theory is generalized from particular observation statements, the conventionalist maintains that it is a disguised definition of the concepts that appear in it, a convention arbitrarily decided to settle regardless of its reflection of the real world. Popper has the same view as the inductivist so far as he holds that only experience can decide whether a theory may continue to exist or should be abolished. He endorses the conventionalist views on the importance of decision in the fate of a theory, but distinguishes himself from the conventionalists in that it is basic statements, not theories that are decided on.
    Popper thinks that by use of falsification he need not require any infallible experience to emphasize the empiricist character, as well as can escape the problem of induction. He attempted to take account of empiricism by falsification and wanted to remain an empiricist so much. However, his falsification has no room for experience. If it refers to an empirical proof that a theory is false, it is an impossible thing to do. Next, if it means a refutation of a theory by use of a basic statement which a scientist with his belief in some other theory has decided on, it is nothing but a conflict between two opposing theories. In case of the former, Popper made too many compromises to the empiricist or inductivist. In case of the latter, he conceded conversely to the conventionalist. So the conclusion cannot be avoided that Popper has failed in synthesizing the two rival doctrines, empiricism and rationalism or inductivism and conventionalism without being par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