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냉전 전후 독일의 시민권제도와 이주민 정책의 변화 - 국적법과 이민법을 중심으로- (The Changes of German Citizenship and Immigration Policy around Post-Cold War Era: Focus on Nationality Law and Immigration Law)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1
33P 미리보기
탈냉전 전후 독일의 시민권제도와 이주민 정책의 변화 - 국적법과 이민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90호 / 221 ~ 253페이지
    · 저자명 : 안종철

    초록

    이 글은 탈냉전 전후의 독일 국적법과 이민법의 변화를 통해서 독일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연구와 달리,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를 염두에 두고 독일 사회내의 사회적, 법적 변화를 논했다. 독일은 문화공동체로 자신들을 정의하고 독일인의 범위를 속인주의에 기초해서 규정해왔다. 특히 1913년에 독일제국의 국적법이 제정된 이래, 다양한 종류의 이민을 받아들였지만 속인주의적 기조는 전후 독일 기본법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70년대까지 급속도록 늘어난 초청노동자들은 이들의 독일 내 통합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을 제기했다.
    그리하여 70년대 말 퀸 보고서에서 처음 제기된 외국인의 독일로의 귀화를 체계화한 아이디어들이 결국 90년대 말 사회민주당 정권하에서 새로운 국적법(2000)의 개정으로 실현되었다. 새로이 개정된 국적법은 5-8년의 체류를 통해 영주권과 귀화를 허용하는 것이었고 연이은 이민법(2005)의 제정은 해외에서 독일로 이주를 규정하는 법안이었다. 특히 노동과 투자, 그리고 난민을 통한 이주가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후 급속도록 독일내 외국인 이민자들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법안은 결국 독일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독일의 사례는, 이주민들을 위한 법안들이 흩어져 있는 한국사회에 통합된 이민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장기적으로 한국인이란 누구인가라는 정체성 문제에 대한 고찰에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iew German identity issues through gradual changes of Nationality and Immigration Law around Post-Cold War era. Unlike existing literature,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social and legal issues in Germany with implication on current Korean society. Traditionally, Germany has defined itself as cultural community and delineated its boundary on jus sanguine or blood-based line. Since the German Imperial and State Citizenship Law was enacted in 1913, the blood-based principle continued even under the German Basic Law or Constitutional Law in 1949. However, the guest workers who came to Germany from mid-1950s onwards and proliferated into 1970s, had raised a thorny issue of their integration into German society.
    Thus, several core ideas that Heinz Kühn brought in his pioneering report, stipulating specific conditions for the integration of foreigners, were realized in the revised Nationality Law (2000) under the SPD administration. The revised law permitted foreigners with 5 to 8 years of work experience in Germany to get permanent residency and to be naturalized afterwards. Following a new revised Nationality Law, a newly created Immigration Law (2005) stipulated the immigration of foreigners to Germany from non-German states. Since it was possible to realize comprehensive immigration regime through labor, investment, and refuge etc, foreign immigrants have exponentially increased in Germany. These legal changes raise ultimate question of identity, namely, who Germans are. A German case brings Korean case to the relief, particularly a necessity for Korea to devise a comprehensive immigration law, incorporating diverse but dispersed laws on foreigners. Thus German case also will be a great reference for Korea to search for an identity ques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