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앎에 이르는 길로서 산파법, 변증법, 아이러니 -소크라테스, 낭만주의, 헤겔, 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Maieutic, Dialectic or Irony as a way to wisdom -According to Socrates, Romanticism, Hegel and Kierkegaard-)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8.03
22P 미리보기
앎에 이르는 길로서 산파법, 변증법, 아이러니 -소크라테스, 낭만주의, 헤겔, 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47호 / 235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앎에 이르는 여러 길들 중에는 ‘변증법’(Dialektik)이 있다. 그리고 철학 분야에서는 다소 생소한 ‘아이러니’(Ironie)가 있다. 이 양자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이 양자는 서로 뫼비우스 띠처럼 관계한다. 서로가 다른가 하면 같고, 같은가 하면 다르다. 비록 변증법과는 달리 아이러니한 사유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앎을 추구하는 합리주의적 전통에 의해서 배척되거나 은폐되어 왔다고 할지라도, 양자의 뫼비우스 띠 관계는 고대에는 헤라클레이토스를 선두로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나아가 근대에서는 피히테, 쉘링, 슐레겔, 헤겔, 키에르케고어의 진리에 이르는 철학 방법 속에 때로는 적극적으로 때로는 소극적으로 나타난다.앎에 이르는 길에 대한 물음은 철학의 가장 중심에 놓여 있다. 보편주의가 독단주의로 둔갑할 수도 있고 상대주의가 자신을 절대화하여 하나의 독단주의로 전락할 수도 있는 점이 앎에 대한 물음이 난제 중에 난제인 이유이다. 필자는 변증법과 아이러니라는 자칫 대립적인 방법으로 이해될 수도 있는 앎에 이르는 상이한 길들을 상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앎에 이르는 우리의 길에 대한 반성적이고 보완적인 사유를 터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우선 변증법과 아이러니의 유래와 초기 변증법의 3인방이라고 할 수 있는 소크라테스, 제논 그리고 헤라클레이토스를 시조로 하는 변증법의 세 방향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낭만주의에서 슐레겔, 헤겔 그리고 키에르케고어를 통하여 변증법과 아이러니의 미묘한 경계를 존재론적이고 실존적 측면 및 방법론으로서 산파법에 대한 독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이 양자가 지니고 있는 면모들을 상관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변증법이냐 아이러니냐의 양자택일이 주는 위험성을 산파법 속에 드러난 자기 비판적 정신의 강조를 통하여 해소하고자 시도해 볼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is dialectic among many ways to reach for wisdom and irony is another way in the area of philosophy although it is a little unacquainted. These two are similar but different. They relate to each other like Mobius strip. They look alike but different, and they look different but alike. Although ironical reason, not like dialectic, has been excluded and suppressed by prudent tradition that pursues wisdom, the Mobius strip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appeared sometimes actively and sometimes passively in the philosophical way to reach the truth of Heraclitos as a front runner, Socrates and Platon in ancient times and of Fichte, Schelling, Schlegel, Hegel and Kierkegaard in modern times.
    The question to reach for wisdom is in the center of philosophy. The reason why the question of wisdom is quite difficult is that universalism can be transformed into dogmatism and relativism can degenerated into dogmatism by absolutizing itself. As I, the writer, examine correlatively the similar ways, which are dialectic and irony and might be understood combatively, in order to reach for wisdom, I would like to justify the introspective and complementary reason on our ways to reach for wisdom. For this, I want to examine briefly the origin of dialectic and irony and the three ways of dialectic whose originators are Socrates, Zenon and Heraclitos, the gang of three for early dialectic. As the start, I will examine the aspects of the two correlatively as I examine dialectic through Schlegel, Hegel and Kierkegaard in romanticism and the delicate border between dialectic and irony based on the way of reading by Maieutic as ontological and existential aspects and methodology. Through this procedure, I will try to dissolve the danger of choosing between dialectic and irony through the emphasis on the mentality of self criticism in Maieu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