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제종(臨濟宗)과 조동종(曹洞宗)의 제접법(提接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ethods of the Linji School and the Caodong School)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06
37P 미리보기
임제종(臨濟宗)과 조동종(曹洞宗)의 제접법(提接法)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5호 / 155 ~ 191페이지
    · 저자명 : 이현배

    초록

    임제종과 조동종은 거의 동시대에 형성되었다. 당시 임제의현이 활동했던 하북은 안사의 난 이후 중앙세력과 대립이 심화되어 지방정권의 찬탈 교체가 잦았던 지역이었다. 대기대용(大機大用)으로 방할(棒喝)을 자유롭게 구사하며 살활(殺活) 자재하던 임제의 선기는 황벽의 간단명료한 심법을 계승하여 새로운 혁신적인 사상으로 군웅할거의 정치이념에 부합하여 주목을 받았다. 동산양개와 조산본적에 의해서 개창된 종파는 선비처럼 세심하게 회호(回互)와 불회호(不回互)의 논리로 다양한 선법을 펼쳤다. 동산이 주석하던 강남의 기후는 온화하고 평화로웠으며, 정치적으로는 안정된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동산 선법의 개연은 당시 많은 선사들을 참알(參謁)한 기연으로 개울을 건너다가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운암의 무정설법(無情說法)을 개오(開悟)한다.
    임제종의 활발발한 선법은 살불살조(殺佛殺祖)의 단순 명확한 선기로 무위진인(無位眞人)에 이르고, 조동종은 세심하게 살피고 배려하면서 회호(回互)와 불회호(不回互)의 선기를 드러낸다. 그에 따라 학인을 제접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차별이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임제종의 제접법으로서 사종근기(四種根器)와 사료간(四料簡)을 고찰하여 그 특질을 고찰하였고, 조동종의 제접법인 삼종삼루(三種滲漏)를 고찰하면서 공통점과 차별을 살펴보았다. 또한 양종이 공통으로 설시(設施)하는 ‘사빈주(四賓主)’에 있어서 임제종은 ‘대기대용(大機大用)’의 입장에서 제시하지만, 조동종은 ‘체용(體用)’의 입장이 두드러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차별은 바로 양종이 종풍의 차이로부터 출현한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Linji School and the Caodong School had been formed in the nearly same era. At the time, Hebei, where Linji Yixuan had done his activity, was a region where the replacement of the usurpation by the local government had been frequent because the opposition to the central power had been deepened after the An Lushan Rebellion.
    Regarding Seongi of Linji, who had freely murdered while freely having a command of the bonghal with daegidaeyong, he had received the attention by conforming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rivalry of the local barons with a new, innovative thought by succeeding the method of using the mind, which was simple and clear, of Hwangbyeok. The denomination that had been re-established by Dongshan Liangjie and Josan Bonjeok had unfolded the diverse seon methods with the logic of hweho and non-hweho carefully like a classical scholar. The climate of Gangnam, where Dongsan had premiered, had been mild and peaceful. And, politically, the stable system had been maintained. The opening of the Dongsan seon method spiritually awakens the unorthodox method of Unam from his own appearance that was reflected on the water while crossing over a brook with the strange fate of the chamal regarding a lot of the Buddhist monks at the time.
    Regarding the Linji School, the lively seon method reaches the true human being with the simple, clear, and definite seongi of salbulsaljo. While carefully taking a look and considering, the Caodong School reveals the seongi of hweho and non-hweho. According to this,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treating the scholars, too, the discrimination appears. In this manuscript, as the method of the Linji School, by considering the sajonggeungi and the saryogan, the properties had been considered. And, while considering about the samjongsamru, which is the method of the Caodong School, I had taken a look at the commonalities and the discriminations. Also, with regard to sabinju, which both schools commonly instruct, although the Linji School presented from the position of the daegidaeyong, I had considered about the position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of the Caodong School standing out. I can say that such a discrimination appear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spirit ethoses of the two schools, inde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