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악생(雅樂生) 4회 교과철(敎科綴)] 율명(律名)의 구음법(口音法) 연구 (Investigation into the Oral Sound Notation in Aakbu Scor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아악생(雅樂生) 4회 교과철(敎科綴)] 율명(律名)의 구음법(口音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1권 / 107 ~ 142페이지
    · 저자명 : 윤병천

    초록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으로 대표되는 국악의 각 악기의 악보는 대개 율명(律名)으로 기록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이를 암보하여 연주한다. 그런데 악보를 외우는데 있어서 서양 음악과 같이 율명을 그대로 외우는 경우도 있지만, 국악에서는 한자로 된 율명을 부르기 쉬운 순수 우리말 의성어인 구음으로 변환하여 외우는 독특한 방법이 전해져 내려온다.
    국악에서 이러한 구음법 전수의 대표적인 예는 현 국립 중․고등학교의 전신인 국립 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에서부터 시작된 죽헌 김기수의 『대마루 108․66』을 통한 구음의 교과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죽헌 김기수의 『국악입문』․『대마루108․66』의 구음은 녹성 김성진의 『아악생4회교과철』 구음과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남아 있는 구음의 자료인 고악보의 적보, 죽헌 김기수의 『국악입문』과 『대마루108․66』, 녹성 김성진의 <초수대엽․여민락>의 구음, 그리고 화정 김태섭의 『피리구음정악보(口音正樂譜)』 중 <초수대엽․여민락> 이상의 다섯 종류의 구음과 녹성 김성진의 『아악생4회교과철』 구음법을 대조하여 그 일치 여부를 살펴보고 일련의 법칙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교 고찰을 통해서 죽헌 김기수의 구음과 녹성 김성진의 구음이 각각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 살펴보았다.
    요컨대 『아악생4회교과철』의 구음법은 『금합자보』에서 사용된 이후 4백여 년간 이어져온 간이(簡易)한 적(笛)의 구음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대금교육에 있어 이러한 구음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구음의 맥이 끊이지 않도록 해야 함은 물론, <종묘제례악>의 경우와 같이 대금연주에 있어서도 구음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ypical Gugak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are usually notated by yulmyeong, the traditional musical note names, and musicians usually memorize these notes to play. Although musicians memorize these notes in scores as in the western music in some cases, there has been a unique notational system in transmission called yukbo for many gugak musicians to memorize scores by translating the yulmyeong into pure Korean onomatopoeia of musical instruments to make it easier to memorize.
    A typical example of such transmission can be found in the curriculum for oral sound, Daemaru 108․66 by Kim Gi-gu, which was first used in Gugak Musicians Training Center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Gugak Center (former Gugak National High School). However, the oral sound in Gugak immun and Daemaru 108․66 by Kim Gi-su present different aspects from the one notated in the Instructional Book for the 4th Group of Aakbu Trainee by Kim Seong-jin.
    Hence, this paper explores five existing materials for oral sounds including the Ancient Piri Score, Gugak Immun and Daemaru 108․66 by Kim Gi-su, the oral sound of “Chosu daeyeop․Yeomillak”, and the same musical pieces in Piri gueum jeongakbo by Kim Tae-seob to verify the consistency and rules by comparing them to the oral sound system in the Instructional Book for the 4th Group of Aakbu Trainee by Kim Seong-jin. This comparative study also intends to examine the fundamentals of the oral sounds by Kim Gi-su and Kim Seong-jin To conclude, the oral sound system by the Instructional Book for the 4th Group of Aakbu Trainee can be said to be the easier oral sound principle of piri that has been used for 400 years since Geumhapjabo. Thus, it should be well maintained for transmission not only by utilizing systematically but also by applying it to daegeum playing as in the case of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Jongmyo jerye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