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 In-hoon’s Novel and Security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5호 / 313 ~ 344페이지
    · 저자명 : 안서현

    초록

    최인훈의 소설관은 작가 자신에 의해 당대주의라는 말로 표명되고 있다. 그에게 소설 쓰기란 당대 현실이 가하는 정치적 제약과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창조적 언어 사이의 길항 과정이었다. 이는 당대의 정치적 제약의 구체화된 기제였던 보안법과 그것이 제한한 담론의 양상에 대한 작가의 관심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실정법적 현실과의 관련 양상에 대한 주목은 관념적인 것으로 읽혀왔던 그의 소설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제시한다.
    이 글은 먼저 당대의 보안법 파동과 최인훈 초기작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최인훈이 등단한 1959년은 전년도 12월 24일의 보안법 파동, 이른바 24파동으로 벽두부터 시끄러웠던 해였다. 그의 등단작 「GREY 구락부 전말기」(1959)와 초기 문제작 『회색인』(1964)은 이 사건에 대한 소설적 논평이라고도 할 수 있다. 「GREY 구락부 전말기」는 보안법 개정과 그 이후 노골화한 억압의 양상을 한 비밀결사의 전말을 통해 알레고리적으로 비판하였으며, 몇 년 뒤에 쓰인 『회색인』 역시 다시 4.19 혁명 이전의 시간으로 돌아가는 문제적 시간 배경 설정과 몇 가지 구체적 실마리의 제시를 통하여 1958〜1959년 당시의 일련의 필화사건들을 환기하고 있다. 이 두 소설 속 중심인물들이 자신의 무력을 자각하는 과정은, 이러한 억압에 대한 저항의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법의 역사적 국면을 그린 것이 바로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1963〜1966)이라 할 수 있다. 이 텍스트들은 식민지 법과 그것을 계승한 군정법령에 기반을 두고 시행되어온 통행금지 제도와 그 이후의 사상 통제의 역사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 2편(1964)에서는 4.19와 함께 열린 통일론의 공간이 다시 위축되고 있었던 5.16 이후 군사정권 하의 담론적 실상을 그려냈다. 이른바 사상의 통행금지라고도 할 수 있는, 당대 통일론에 대한 억압의 문제를 예각화한 것이다. 소설 속 밀실에서의 탈출을 시도하게 하는 신체의 동통이나 사상의 통금을 위반하는 밀실에서의 불온한 대화의 모티프는 이러한 통제에 대한 개인들의 저항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영어초록

    Choi In-hoon’s view of a novel was expressed by the author himself as contemporisation. To him, writing a novel was an antagonism of the political constraints and the creative language that seeks to overcome it. This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author’s interest in the security law, which was the mechanism of political constraint of the time, and the aspects of unification theory it restricted. This concrete aspect of the real-law reality represented in his writings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to his novel, which had been read as ideological on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urity law and Choi In-hoon’s early works. 1959, the year in which Choi In-hoon started his literary career, was a noisy year from the beginning due to the December 24 security law revision shock. His short story, ‘The Full History of GREY Club’(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1959) and his succeeded work The Gray Man(회색인, 1964), can be called as a commentary on this security law scandal. The piece criticized in an allegory manner a closed society in which the National Security Law was strengthened and the Progressive Party was suppressed. Written a few years later, The Gray Man is also recalling a series of author suppressions from 1958 to 1959 by setting a time background that goes back to 1958, before the April Revolution.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se two stories demonstrate the (im)possibility of resistance to this oppression. The historical aspect of this law was dealt with in the ‘Christmas Carols’ series(1963-1966). These texts dealt with the history of curfews and thought-control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inherited colonial law and the US military order. In the second episode(1964), the situation under the military regime was mentioned since 5.16, when the discourse space of unification theory that had opened with 4.19 was shrunk again. These serialized stories were demonstrating their society through the problems of restriction and discipline on the unification discourse of the time, that can be called the society which was under the curfew on ideology. Motifs of the private conversations in the individual room violating such the ideological curfew, or of the body’s pain which becomes a motive to escape from such an oppressed society, mer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s’ resistance to such contr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