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한(西漢) 괘기설(卦氣說)의 분괘직일법(分卦直日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Assigning Hexagrams to Days in the Gua-Qi Theory during the Western Han Dynas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11
46P 미리보기
서한(西漢) 괘기설(卦氣說)의 분괘직일법(分卦直日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61권 / 153 ~ 198페이지
    · 저자명 : 정길영

    초록

    본 논문은 서한(西漢) 시기의 괘기설(卦氣說) 중 맹희가 창안한 분괘직일법(分卦直日法)의 원리를 고찰하고, 초연수와 경방을 거쳐 『역위』에 이르기까지 변화해 온 과정을 탐구하였다. 맹희는 『주역』의 64괘와 384효를 절기 기반의 역법(曆法)과 결합하여 괘기설의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설괘전」에 나오는 사정괘(四正卦)를 육효중괘로 확장하여 사시(四時)와 24기(氣)를 배정하는 ‘사정괘설’을 창안했다. 또한 사정괘를 제외한 나머지 60개의 괘가 사분력에 따른 1년의 일수인 365와 1/4일을 담당하도록 ‘육일칠분(六日七分)’이라는 새로운 시간 단위를 창안했다. 이처럼 괘에 일수를 배정하는 방식이 바로 ‘분괘직일법’이다.
    초연수는 맹희와 달리 사정괘에도 1일씩 배정하고, 나머지 60괘에 6일씩 배정하여 64괘가 총 364일을 주관하도록 했다. 이는 점단(占斷)에서 사정괘에 일수가 배정되지 않는 공백을 메우고, 점단을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날짜를 파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인다.
    경방은 맹희의 육일칠분을 기본으로 사용하되, 이지이분이 든 날에 사정괘를 배정하고 73/80일에 해당하는 73분을 할당하였다. 이러한 경방의 분괘직일법은 맹희와 초연수의 방법을 조합한 것으로, 특히 동지가 든 음력 11월의 벽괘인 복(復)괘의 ‘칠일래복(七日來復)’이란 괘사와 일치시키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경방의 이러한 해석은 다수의 후대 학자들에 의해 역(易)의 원리보다는 단순한 끼워 맞춤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맹희의 육일칠분설은 『역위∙계람도』에도 이어졌으나, 각 괘가 육일칠분을 주관한 뒤 다른 괘로 넘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5개 괘의 한 효씩 번갈아가며 대략 1일을 담당하는 차이를 보인다. 또한 「계람도」는 사정괘에 73/80일을 배정하는 경방의 분괘직일법의 내용도 수록하고 있다. 후대에 작성된 「계람도」는 맹희와 경방의 분괘직일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으며, 이는 맹희와 경방의 역학이 『역위∙계람도』의 출처임을 보여주는 근거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principles of the Method of Assigning Hexagrams to Days (分卦直日法) developed by Meng Xi (孟喜) within the framework of Gua-Qi Theory (卦氣說) during the Western Han Dynasty. I also explores the changes this method underwent through Jiao Yanshou (焦延壽) and Jing Fang (京房), leading to its incorporation into the Yi Wei (易緯). Meng Xi integrated the 64 hexagrams and 384 Yao (爻) of the Zhou Yi (周易) with a solar-term-based calendrical system to establish Gua-Qi Theory. He expanded the Si Zheng Gua (四正卦) mentioned in the Shuogua Zhuan (說卦傳), into hexagrams with six Yao (六爻重卦) and assigned them to the four seasons (四時) and the twenty-four solar terms (24氣), thereby creating the Theory of Si Zheng Gua (四正卦說). Additionally, Meng Xi introduced a new time unit, "Six Days and Seven-Eightieths" (六日七分), to allocate the remaining 60 hexagrams (excluding the Si Zheng Gua) across the 365 1/4 days of a solar year, based on the Shifun Calendar (四分曆). This method of assigning days to hexagrams is known as the Method of Assigning Hexagrams to Days (分卦直日法).
    Jiao Yanshou (焦延壽), on the other hand, assigned one day to each of the Si Zheng Gua (四正卦) and allocated six days to each of the remaining 60 hexagrams, resulting in a total of 364 days governed by the 64 hexagrams. This adjustment likely aimed to compensate for the missing days left by the Si Zheng Gua in divination and to simplify the process of determining dates in practical applications.
    Jing Fang (京房) adopted Meng Xi's (孟喜) Theory of Six Days and Seven-Eightieths (六日七分說) as a foundation but assigned the Si Zheng Gua to the days of the two solstices and the two equinoxes (二至二分), allocating 73/80 days to the Si Zheng Gua. Jing Fang's method combined elements of both Meng Xi and Jiao Yanshou (焦延壽), particularly in his effort to align with the "Seven Days Return" (七日來復) mentioned in the hexagram text of the Fu Hexagram (復卦), which corresponds to the 11th lunar month during which the winter solstice occurs. However, Jing Fang's interpretation was criticized by later scholars for being overly contrived, rather than grounded in the principles of the Yi (易).
    Meng Xi's (孟喜) Theory of Six Days and Seven-Eightieths (六日七分說) continued into the Yi Wei - Jilan Tu (易緯∙稽覽圖), although it was slightly modified. Instead of shifting to another hexagram after its allotted days had passed, one Yao (爻) from each of five hexagrams was alternately assigned to govern approximately one day. The Jilan Tu (稽覽圖) also contains the allocation of 73/80 of a day to the Si Zheng Gua (四正卦) by Jing Fang (京房). The incorporation of both Meng Xi’s and Jing Fang’s Methods of Assigning Hexagrams to Days (分卦直日法) in the Jilan Tu is considered significant evidence that their studies in Yi Studies (易學) served as foundational sources for the Yi Wei - Jilan Tu (易緯∙稽覽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