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정전(佛敎正典)』의「좌선법」과 일본선종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坐禪法) of Bulkyo Jeongjeon(佛敎正典) and the Zen Sects of Japa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불교정전(佛敎正典)』의「좌선법」과 일본선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0호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본 논문은 1943년에 발행된, 원불교의 최초 완정경전인『불교정전(佛敎正典)』의「좌선법」에 실린 여러 텍스트, 특히 일본불교관련의 부분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여진 것이다. 좌선 및 좌선법의 원류는 불교, 그 가운데에도 동아시아의 대승불교의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식민지 하의 상황에서 구성되었다하더라도 이를 넓게 보아 동아시아 불교 교류의 차원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 것이다. 특히 일본의 조동종과 임제종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근대 이전의 불교적 상황에서 제시된 선법이자 선사상이므로 소태산과 그의 제자들은 이를 충분히 교리구성에 있어 창조적으로 활용했음을 보이고 있다.
    조동선에 있어서는 도겐(道元)과 그의 법을 이은 케이잔 죠킨(瑩山紹瑾)의 선법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으며, 임제종에 있어서는 중흥조인 하쿠인(白隱)의 선법과의 관련도 엿보인다. 특히 좌선법에서 좌선뿐만이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중요하게 여기는 단전주(丹田住)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본 선종 사상과의 교류도 엿볼 수 있게 한다.
    일본조동선에 있어서는 묵조선(黙照禪)의 전통을 계승한 도겐의 본증묘수(本證妙修)의 선사상과 상통하는 점을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지관타좌(只管打坐)의 실천선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임제종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하쿠인의 단전주 활용이 좌선법 체계의 일환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단전주 선법이 묵조선 및 간화선을 병행하는 데에 크게 일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좌선법이 실질적인 생활 속의 선법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을 통해 원불교의 좌선법이 바탕하고 있는 정심요결을 중심으로 세운 좌선의 이론에 일본의 불교종파의 선법을 연결함으로써 주체는 분명히 세우면서도 당시 극심하였던 일제의 예봉을 피하는 동시에 사상적으로는 동북아시아에 흐르는 불교적 전통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various texts, especially several parts related with Japanese Buddhism, cited in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坐禪法) of Bulkyo Jeongjeon(佛敎正典) which was published in 1943 and the first complete canon of Won-Buddhism.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stand point that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 constituted under colonial condition though, it has to be interpreted from a viewpoint of which origin of seated meditation and its methodology begins at Buddhism, especially reflecting the stream of Mahayana Buddhism in East Asia, and a wide dimension of exchanges of Buddhism in East Asia. It shows that Sotaesan Park Jung-Bin(少太山 朴重彬) and his disciples thoroughly utilized on construction of doctrine with the methodologies and the thoughts of meditation of especially Jodong Zen sect(曹洞宗) and Imje Zen sect(臨濟宗) in Japan since which were influenced by Chinese Buddhism and presented in dominant circumstances of Buddhism, before modern age.
    Methodologies of Dogen(道元) and his successor Keizan-Jokin(瑩山紹瑾) of Jodong sect and Hakuin(白隱), the restorer of Imje sect seemed be utilized. Particularly in the methodology, the resting in elixir field which is not only important for seated meditation, but also for physical hygienic, is mainly explained. With this, exchange with Japanese meditation thought can be inferred.
    We can see that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 is on the same line with Zen thought of Bonjung-Myousu (本證妙修) by Dogen(道元) who succeeded traditional Mukjo Zen(黙照禪), and moreover, has connections with practical Zen of Jigwan-Taja(只管打坐). Also, it can be noticed that in relation with Imje sect, Hakuin's utilization of the resting in the elixir field is dealt as a system of seated meditation. According to these facts, it can be understood that methodology of meditation of the resting in the elixir field is largely helping practice Mukjo Zen and Kanhwa Zen(看話禪) simultaneously, and based on this, the Dharma of Seated Meditation was constructed for establishment of the dharma of meditation in re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