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1) -[東方學講座] 이전 시기(1915-1957)를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Studies(Dongbahghak) in Bombu Kim Jeongseol(1):Focused on the Previous Period(1915-1957) of his the Oriental Studies Lectures)

6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1.08
69P 미리보기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1) -[東方學講座] 이전 시기(1915-195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22호 / 369 ~ 437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金鼎卨(1897-1966. 호는 凡父)(이하 범부)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 특히 건국대학교의 東方學硏究所長에 취임(1958, 62세)한 뒤 행하는「東方學講座」에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① 범부 사상을 연대기적으로 추적하면서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또한 ②이 시기(1915-1957)에 그가 조선, 동양, 동방이란 개념을 비록 혼용하고는 있지만 이후 확립할 ‘東方學’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는 매우 중요한 기간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범부의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의 자각적 확립은, 그의「연보」등에서 잘 알려진 대로, 1958년(62세) 建國大學校에서 「정치철학강좌」를 담당하고 이와 동시에 같은 대학에 부설된『東方思想硏究所』소장으로 취임하여「易學」・「陰陽論」・「五行思想」등의「東方學講座」를 시작한 시기부터이다. 이때에 ‘卽觀(卽事觀)的’・‘陰陽論的’ 관점 등의 독창적인 ‘東方學 方法論’을 제창한다.
    범부는 자신의 학문을 어느 시점부터 (‘東洋學’이 아니라) ‘東方學’이라 명명하고 자각적으로 그 개념을 사용하고, 아울러 그가 구상한 ‘동방학’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가 의도했던 ‘동방학’의 방법론과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범부는 의식적, 자각적으로, 일제강점기가 아닌 해방 이후 건국기에, 동방학의 확립을 지향하여 일반명사였던 동방, 동방학을 고유명사로 변모시켰던 것이다. 이렇게 그에게서 ‘동양・동양학에서 동방・동방학으로’는 단순한 용어나 레토릭의 변화를 넘어서서 범부의 학술상에서 매우 중요한「표현법의 변모」로 지적될 수 있다. 이 변모 속에는 지리적・문화적・민속적・정치적인 의미 정체성(아이덴티티) 즉 ‘경계’의 확립이 엿보인다. ‘동방’이란 경계는 개개인의 신체처럼 민족, 국가라는 ‘하나의(=한)’ 지리적・문화적・정치적・종교적인 신체적 동질성을 ‘넋과 얼(靈魂)・핏줄・핏줄기(血脈)’ 확인을 통해 얻어낸 이른바 ‘한 겨레’ 조선의 ‘고유 장소’인 것이다. 따라서 범부의 ‘동방’・‘동방학’ 논의는 안으로는 ‘건국-민족’, 밖으로는 ‘세계-인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을 갖는다. 이처럼 이중의 목표를 갖는 범부의 동방, 동방학 논의는, 민족 공동체의 ‘단합・융화’라는 목표를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인 경계설정의 기초가 되는 ‘언어의 동질성’에 근거한다. 범부에 의해 새롭게 의식적, 자각적으로 구축되는 ‘東方學’이란 범부가 우리의 전통을 새롭게 ‘闡明’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며 동방학의 하부 개념인 신라정신, 풍류도, 화랑 등이 결국은 해방 이후 한국의 건국의 논리, 이념 구축과 맞물려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진행되어 온 여러 연구들에서는 이런 점들이 선명하고도 충분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의 학문 과정에서 보이는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으로의 자각적 轉化에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of Bombu Kim Jeongseol(1897-1966. penname Bombu)(hereinafter beombu), focused on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Lectures, began at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Dongbanghakyeonguso) of Konkuk University in 1958.
    Before that, from 1915, he went to Japan for studying, to 1957,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 Lectures at Konkuk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times for the process of building his own thoughts, especially in view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is paper, for the study period is limited from 1915 to 1957,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ime and the number of paper. And so the next study period that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paper is from 1958 to 1966, that is, 1958 is the year that Dongbanghak of Bombu is established, 1966 is the year that he is dead.
    Bombu, before 1958, in his workes uses three types terms, first, Joseon and Joseon culture is related to the Joseon studies(Joseonhak), second, East and Eastern culture is related to the Eastern studies(Dongyanghak), third, Orient and Oriental culture is related to the Oriantal suudies(Dongbanghak).
    During this period, he have used a mixture of these three terms. It seems to show characteristic of syncretism in his terms. But since 1958, he becomes to use the terms, i.e. Orient, Oriental culture and Oriantal suudies, ano so he almost not used the term East, East culture and Eastern studies, but if he use these, clearly distinguish and strictly separates two.
    In addition, prior to 1958, he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is Hwarang who is the young boys group(in first girls), physically healthy and beautiful, sons of the nobility in Shlla. They find and play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military training and were practicing singing and dancing. Furthermore they are a shaman involved in the national memorial events. Thus, in Hwarang there are three aspects, that is, the military, the religious, the artistic. They has the spirit of elegance, so called, Pungryu and Pungryujeongsin. He based on the tradition of Hwarang and Pungryu become to build a national ethics(Gukminyunri).
    As a result, since his Hwarang, Pungryu and Pungryujeongsin, and Gukminyunri will converge on the Eastern studies. Thus, we realize, Bombu's Eastern studies is established through a step-by-step in his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