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표현주의 영화연구 (1) :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about German Expressionist Film (I): A critical study about the range of German Expressionist Fil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3
29P 미리보기
독일 표현주의 영화연구 (1) :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79호 / 65 ~ 93페이지
    · 저자명 : 남완석, 김수지

    초록

    독일 표현주의 영화는 전 세계 영화에 큰 영향을 준 영화 예술 사조로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국내 및 영미권의 연구와 독일에서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독일 표현주의 영화로서 거론이 되는 영화들의 범위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독일에서 독일 표현주의 영화는 1919년부터 1924년 사이에 제작이 된 약 6, 7 편의 영화들로 제한이되고 있다. 반면 국내와 영미권의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의 관점에 따라서 상이한영화들이 독일 표현주의 영화로 기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먼저 2차 대전 이후 독일이 바이마르 시대에 대한 회상을 의도적으로 회피한것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보다 결정적인 원인은 로테 아이스너의 저서인 귀신들린 스크린 에서 촉발된 오해에서 찾을 수 있다. 독일 무성영화의 예술적 전통을 독일 낭만주의에서 찾음으로써 독일 영화의 예술적, 문화적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그녀는 자신의 저서에 “독일 영화에서 표현주의와 막스 라인하르트의 영향”이라는 부제를 달았고 이를 통해서 표현주의 영화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를대표하는 영화적 스타일로 부각시키고자 시도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당대 독일 영화를 대표하는 감독들인 프리츠 랑, 무르나우, 루비치와 같은 감독들의 영화들을 빈번하게 언급하였다. 그 결과 많은 이들, 특히 독일의 문화와 예술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당시 제작된 독일 무성 영화는 모두 표현주의 영화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는 나아가서 현실의 사실적 재현이 아닌모든 것을 표현주의의 특징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까지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을 제작했던 에리히 폼머의 회상에 따르면 표현주의 영화는 할리우드 영화와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이 되었으며, <칼리가리>의성공으로 비슷한 후속 영화들이 제작되었으나 기대했던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더 이상의 제작을 포기한 것이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학문적인 입장에서 보자면표현주의 영화를 소수의 영화들로 제한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노스페라투>나 <메트로폴리스>와 같은 고전 영화들의 의미와 가치가줄어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German Expressionist Film is a film art form that has greatly influenced films around the world, and researches on it are actively continuing until recent days.
    However, comparing domestic and U.S. studies with those in Germany, there is a wide gap in the range of films mentioned as German Expressionist Film. In Germany, German Expressionist film is limited to only about six or seven films produced between 1919 and 1924. On the contrary, in researches in Korea and the U.S. many different films are described as German Expressionist Film,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The difference can be attributed to Germany’s intentional avoidance of retrospection on the Weimar era after World War II. A more decisive factor, however, can be found in the misunderstanding triggered by Lotte Eisner’s book, The Haunted Screen. To enhance the artistic and cultural status of German films by seeking the artistic traditions of German silent films in Romanticism, she subtitled her book, "Expressionism in the German Cinema and the Influence of Max Reinhardt" and attempted to highlight expressionistic films as a cinematic style representing the Weimar Republic era. And in this process, she frequently mentioned films of directors such as Fritz Lang, Murnau and Lubitsch, who represented contemporary German films. As a result, many people, especially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German culture and art, misunderstood that German silent films produced at that time were all expressionistic films. And this led to regard everything that does not represent the actual reality, a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ism. Erich Pommer, who produced <The Cabinet of Dr. Calgary>, said the expressionistic film was planned as part of a strategy to differentiate German movies from the Hollywood films, and the success of <The Cabinet of Dr. Calgary> resulted in similar follow-up films being produced, but after failing to achieve the desired success, he gave up the concept of making expressionistic films. In conclusion, from an academic standpoint, it seems appropriate to limit the German Expressionist film to a small number of films, because that does not mean tha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lassical German films like <Nosferatu> and <Metropolis > are diminis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