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도메인 대화에서의 화행 자동분류 (Automatische Klassifikation von Sprechakten in Domänenunabhängigen Gespräch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범도메인 대화에서의 화행 자동분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학 / 39호 / 25 ~ 48페이지
    · 저자명 : 구영은, 홍문표

    초록

    화자가 발화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를 화행이라고 한다.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화 참여자가 상대방의 화행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대화를 분석해 보면 화행을 명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대화가 발생한 상황에 따라 화행이 달라지거나 대화 참여자에 따라 화행이 조금 다르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행 유형을 같은 층위에 놓은 무계층구조가 아닌, 화행 유형 간의 성격을 고려한 계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화행 유형 체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계층구조는 첫 번째 층위의 ‘대표화행’과 두 번째 층위의 ‘세부화행’으로 구성된다. 이때 범도메인 대화에 적용한 화행 계층구조를 정립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대화 유형인 독일어 수업 대화와 전화 대화를 분석하여 대표화행과 세부화행을 설정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화행 계층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이용한 화행 자동분류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화문을 대표화행으로 분류하는 첫 번째 단계의 정확률은 80%, 발화문을 세부화행으로 분류하는 두 번째 단계의 정확률은 83%로 측정되었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eine Methode für die automatische Klassifikation von Sprechakten basierend auf einer hierarchischen Struktur von Sprechakttypen vorgestellt. Bei einer Kommunikation ist es wichtig, zu verstehen, welche Intention eine Äußerung enthält. Im alltäglichen Gespräch kommt jedoch solch eine Situation nicht selten vor, in der es schwierig ist, den Sprechakt einer Äußerung richtig zu bestimmen. Beispielsweise können die Äußerungen abhängig von einer Situation, in der eine Konversation stattgefunden hat, variieren, und sie können ein wenig anders verstanden werden, je nachdem, wer die Konversationsteilnehmer sind.
    In dieser Arbeit wird daher anstelle der herkömmlichen ‘flachen Struktur’, in der die Sprechakttypen auf derselben Ebene angeordnet sind, die Notwendigkeit einer ‘hierarchischen Struktur’ betont, in der die Beziehungen zwischen Sprechakttypen ausgedrückt werden. Die vorgeschlagene hierarchische Struktur der Sprechakttypen besteht aus 7 ‘repräsentativen Sprechakten’ in der ersten Ebene und weiteren 25 ‘detaillierten Sprechakten’ in der zweiten Ebene. Diese hierarchische Struktur wurde durch die Analyse von zwei Korpora, einerseits auf Basis eines Unterrichtsgesprächkorpus und andererseits mit einem Telefongesprächkorpus erstellt.
    Ein Experiment zeigte, dass die automatische Klassifizierung von Sprechakten mithilfe von der hierarchischen Sprechakttypenstruktur die Genaugigkeit von 80% in der ersten Ebene und 83% in der zweiten Ebene aufwe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