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영화의 신’과 함께—<신과 함께—죄와 벌>의 죽음충동과 삶 충동의 시각적 스타일에 기초한 흥행 원인에 대하여 (“Along with the God” and Korean Movie―A Study on the Cause of Success Based on the Visual Style of Death Drive and Life Instinct in “Along with the G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한국 ‘영화의 신’과 함께—&lt;신과 함께—죄와 벌&gt;의 죽음충동과 삶 충동의 시각적 스타일에 기초한 흥행 원인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4권 / 3호 / 478 ~ 509페이지
    · 저자명 : 조형래

    초록

    본 논문은 <신과 함께-죄와 벌>을 관객 일반의 ‘보는 방법(way of seeing)’과 절합하는 영화적 스타일 및 시각적 스펙터클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이 영화의 흥행 요인에 대해 그러한 형식적 요소와 결착되어 있는 욕망과 충동의 문제와 관련하여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영화는 저승의 죄인들을 무생물로 환원하는 여러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향은 영화의 후반부로 갈수록 심화되며 관객의 통각을 자극한다. 자홍은 자기 처벌의 유혹/거부에 시달리며 저승의 죄인들처럼 무생물로 환원되고자 한다. 영화는 그러한 자홍의 갈등을 자극하고 유발하는 여러 시각적 스타일을 제공한다. 그러한 죽음충동의 스펙터클은 ‘헬조선’이라고 불리는 한국사회의 현실에 시달리는 관객들의 욕망과 시각적으로 조응한다.
    반면 차사들과 시왕 그리고 수홍 같은 저승의 존재의 액션과 언행은 과장되게 활기 넘치며 살아 있는 듯한 실감을 환기한다. 최근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에 도입되고 있는 할리우드 영화의 관습적 시퀀스/스타일이 그것에 부합한다. 그것은 한편 <신과 함께-죄와 벌>의 서사적 완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러한 장면들이 환기하는 시각적 형식의 친숙함과 기시감이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나아가 그러한 기존 익숙한 스타일의 도입은 죽음충동의 스펙터클이 환기했던 향락의 가능성을 폐색한다. 또한 영화의 등장인물 전부가 사실상 죽지 않는 연출 및 대단원의 현몽 씬과 조응하여 관객 일반이 살아 있으며 처벌받지 않아도 된다는 시각적 안도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신과 함께-죄와 벌>의 기록적인 흥행 요인을 단지 신파적 요소의 도입과 관련하여 해명하려는 기존의 논의를 극복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영화의 흥행이 그 내용적 요소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 형식 및 그것을 바라보는 관객 일반의 욕망 및 충동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문화적 맥락 등의 다양한 요인과 관계되는 복합적인 문제임을 조명했다. 또한 오늘날 한국영화에 도입/차용되고 있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스타일이 관객 일반의 기시감을 환기하고 그러한 복합적 요인과 연동되는 욕망의 프로세스를 규명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styles and visual spectacles that are articulated with the audience’s ‘way of seeing’ “Along with the G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success of the movie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desire and impulse which are connected with such formal elements.
    The film consists of various sequences that turn the sinners in hell into inanimate objects. This dynamic intensifies towards the latter part of the film and stimulates a sense of anxiety in the audience. The protagonist, Ja-hong, is confronted with conflicting feelings of temptation or rejection of his punishment. As a result, he wants to return to being an inanimate object like the sinners in hell. The film provides a variety of visual styles that stimulate and induce his conflicts. The spectacle of death drive corresponds visually with the desires of the Korean audience that suffers from the reality of ‘Hell Jo-Seon(헬조선)’.
    On the contrary, the words and actions of underworld characters such as angels of death, kings of Hell and Su-hong are overly lively and are directed as living figures. The customary sequence/style of Hollywood movies that are being introduced in recent Korean blockbuster movies makes that visual directing more verisimilar. On the other hand, it also acted as a deterrent to the narrative completeness of “Along with the God”. However, the familiarity and déjà vu of the visual form caused by certain scenes can be seen as attracting audience response.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existing familiar styles restricts the possibility of the Jouissance that the spectacle of death drive caused. In addition, directing all the characters in the film do not die, and the dream of ending provides a visual reassurance that has led to the audience lives and does not punishment. It means that the viewer can stay inside the pleasure principle related to life instinct.
    This paper contradicts the general argument of the existing argument that the success of “Along with the God” is due to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elements of Sin-pa(신파). First of all, we have highlighted that Korean movies are not merely influenced by their content elements, but that this is a complex issue rela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visual form, the desire and drive of the audience, and the surrounding cultural context. In addition, the style of Hollywood blockbusters that is introduced and borrowed in Korean cinema today leads to the a sense of familiarity of the audience and reveals the complex interaction with the desire of audience and reality of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