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소설의 젠더적 공간 재현 양상과 그 의미-『고삐』와 『여왕벌』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the Gendered Space Representation in 1980’s Novel-Based on “The reins” and “The queen be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08
40P 미리보기
1980년대 소설의 젠더적 공간 재현 양상과 그 의미-『고삐』와 『여왕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5호 / 61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지윤

    초록

    본고는 1980년대에 발표된 윤정모의 장편소설 『고삐』와 유재순의 르포소설 『여왕벌』을 대상으로, 미군기지 주변의 이태원과 그곳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의 재현 양상을 살폈다. 그동안 민족문학에 의해 이 지역의 여성들은 주로 한 가지 모습으로 단일화되어 왔다. 1980년대적 전형성을 부여받은 ‘기지촌 성매매 여성’이라는 표상이 그것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문학장에서 기지촌 여성의 과거사를 매개로 민족의 수난에 대한 남성 주체의 사유와 반성이 이루어지는 구도가 문학적 성과를 인정받게 된다. 이를 돌파하기 위해 여성 작가였던 윤정모와 유재순은 이태원 인근에서 벌어진 일들의 묘사에 있어 ‘자전적 체험’과 ‘사실성’을 강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두 작가가 전달하고자 했던 주제는 여전히 남성주의적-민족주의적 의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묘사와 재현은 때로 주제를 약화시키거나 주제와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고삐』에서 남성 인물이 관념화된 언어로 주장하는 민족의식의 중요성은 이태원을 위시한 여러 장소들의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비로소 그 실감이 확보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재현의 구체성은 관념의 추상성을 압도하여, 역설적으로 소설이 강조하고자 했던 외부식민화라는 문제 대신 여성의 남성에 의한 내부식민화 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여왕벌』은 작가로 치환될 수 있는 ‘르포라이터’라는 인물을 서사의 전면에 내세워 『고삐』보다 직접적으로 이태원의 여성들로 하여금 민족의식을 갖출 것을 촉구한다. 그러나 유재순이 등장시키고 있는 ‘이태원 걸’이라는 기호는 작가의 목소리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독자를 이끈다. 결국 소설은 이러한 균열을 해결하지 못한 채 종결을 맞이한다.
    『고삐』는 서사의 결말에서 민족의식에 비로소 진정으로 눈 뜬 초점화자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여왕벌』에서 채 해결되지 못했던 주제와 재현 사이의 균열은 2년 후 영화 <여왕벌>을 통해 사후적으로 봉합된다. 그러나 소설에서 발견되는 이와 같은 서사와 재현의 불일치는 그 자체로 1980년대 한국이라는 시공간이 민족의식이라는 단일한 목소리만으로 수렴될 수 없는 기표들을 포함하고 있던 다층적인 공간이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production of Itaewon around the U.S. military base and the women living there, targeting Yoon Jeong-mo’s long-running novel “The reins” published in the 1980s and Yoo Jae-soon’s “The Queen’s Bee.” Until now, the area has been imaged mainly by ethnic literature as a “base village prostitution woman” who was given typicality in the 1980s. In particular, during this period,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male subject’s reason and reflection on the plight of the people through the elderly women in the base village at the literary center will be recognized. To break through this, Yoon Jung-mo and Yoo Jae-soon, both female writers, use methods to emphasize “voluntary experiences” and “realism” in describing what happened near Itaewon. In the process, though the subject that the two writers were trying to convey was still a masculine-national consciousness, the portrayal and reenactment of the specific place sometimes seem to exceed or go against the subject.
    The importance of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is claimed by male figures in the conceptualized language in “The reins,” can only be realized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various places, including Itaewon. However, in this process, the specificity of reproduction overwhelms the abstraction of the conception, paradoxically allowing women to look into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by men instead of the issue of externalization that the novel intended to emphasize.
    The “Queen Bee” calls for women in Itaewon to have a national consciousness more directly than “The reins” by putting the character “Reforator” at the forefront of the narrative, which can be replaced as a writer. However, Yoo Jae-soon’s “Lee Tae-won Girl” symbol leads the reader in a way that goes against the writer’s voice. Eventually, the novel ends without solving this rift.
    “The reins” solves the problem by emphasizing the focus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t the end of the narrative, and the cracks between the theme and the reproduction that were not resolved in the “Queen bee” are posthumously sealed in the film “Queen bee” two years later. However, this discrepancy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reproduction found in the novel shows that the time and space of Korea in the 1980s itself was a multi-layered space that contained signs that could not be converged only by a single voice of national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