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스토옙스키『죄와 벌』에 나타난 ‘죄’와 ‘벌’의 의미 (The Meaning of ‘Crime’ and ‘Punishment’ in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4
37P 미리보기
도스토옙스키『죄와 벌』에 나타난 ‘죄’와 ‘벌’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11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성일

    초록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는 1860년대 잡계급 지식인 세대를 대표하는 전형이다. 그는 작가 자신의 동시대의 사회적·정신적 부조리에 고통 받고 반항하는, ‘새로운’ 인간이자 시대의 표상으로 구상되었다. 극빈한 생활로 인해 그의 삶은 부정적 세계관과 무의미로 가득 차 있다. 라스콜리니코프는 결코 단순한 허무주의적 공상가는 아니다. 그는 신을 부정하고 그 자리에 인간의 전능한 이성을 자리매김하는 깊은 철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비범한 인물이다. 동시에 드높은 자긍심과 절대적 고독감, 슬픔을 느낄 수 있는 낭만적 인물이기도 하다.
    라스콜리니코프의 범죄는 일반적인 범죄보다 훨씬 더 심오하다. 그는 단순히 한 인간을 살해한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범죄의 본질과 사회적 도덕을 규정해온 원칙을 살해한 것이다. 그의 사상은 인류를 비범인(非凡人)과 범인(凡人)이라는 두 가지 부류로 분류한다. 그리고 위대성이라는 모호한 기준 하에 전자에 의한 후자의 지배를 합리화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자신이 벌인 살인이라는 ‘실험’의 합리성과 정당성을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죄와 벌”이라는 작품 제목은 도스토옙스키 사상의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를 잘 드러내주고 있다. 여기서 ‘죄’라는 단어는 이미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라스콜리니코프의 범죄의 본질은 바로 모든 경계와 규범, 그리고 도덕성을 넘어서는 것에 있다. 이로 인해 도스토옙스키 문학의 반(反)주인공의 중요한 모토인 “모든 것이 허용된다.” 이러한 ‘넘어서기’ 모티브는 『죄와 벌』의 거의 모든 등장인물들의 운명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모티브는 성격상 완전히 다른 특징을 갖는다.
    어원적으로 ‘지시’, ‘충고’, ‘가르침’을 의미하는 ‘벌’ 역시 ‘죄’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개념이다. 라스콜리니코프는 범죄를 저지른 후 무시무시한 도덕적 고통을 겪는다. 자신의 사상과 신념을 실행한 후 절대적 자유와 홀가분함을 느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그가 간과한 것은 바로 자신에게 내재한 인간적 본성, 즉 양심의 가책이었던 것이다. 라스콜리니코프는 양심의 가책을 부정하며 전혀 뉘우침 없이 자신의 이론을 계속해서 신봉한다. 하지만 ‘경계를 넘어섬’이 귀착하는 곳은 평범한 살인자로서의 자신의 모습과 자신이 인류와 완전히 단절되었다는 극단적인 정신적 공허함일 뿐이다. 자각에 이르기 위해서는 고통스러운 분열을 거쳐야만 한다. 공식적인 진짜 형벌은 작품의 에필로그에서 시작된다. 이것이 라스콜리니코프에게는 완쾌이자 부활인 것이다. 구원은 외부로부터, 또 다른 자기인 타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otagonist of Crime and Punishment, Raskolinikov, epitomizes generations of Russian Intellectuals of the 1860s. He has been conceived as a ‘new’ man and a symbol of his time, as he endures and defies the social and mental absurdities of Dostoevsky’s contemporaries. His life of poverty has shaped his world view with nihilism and meaninglessness. However, Raskolinikov is not merely a nihilistic daydreamer. He is in fact an extraordinary character with a profound philosophical trait, who denies God to establish the omnipotent rationality of men instead. At the same time, he is a romantic character as he feels pride, absolute loneliness and sadness.
    Raskolinikov commits a crime deeper than common crimes. He did not merely murder a human being, but also the principle that defines the nature of crime and social morality. In his world view, mankind falls into two categories: the extraordinary man and the ordinary man. Raskolinikov rationalizes the former’s domination over the latter with the vague criterion of greatness and his theory serves to justify and legitimate the ‘experiment’ of the murder he has committed.
    The title ‘Crime and Punishment’ reveal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of Dostoevsky’s thoughts. Here, the word ‘crime’ already means ‘transgression’. The very nature of Raskolinikov’s crime lies in the transgression of all boundaries and norms, and morality. In that sense, “Everything is permitted” is to be understood as an important motto of Dostoevsky’s anti-hero. This central motif of ‘transgression’ can thus be found along the fate of almost all the characters of Crime and Punishment. However, it assumes different meanings for each of them.
    As for ‘punishment’, which means etymologically ‘instruction, advice, teaching’, it denotes a concept as complex as of ‘crime’. After perpetrating his crime, Raskolinikov is in the grip of a dreadful moral struggle. Thinking he could live in absolute freedom and solitude after putting into practice his thoughts and beliefs, he has overlooked the human nature intrinsic to himself, that is, the guilt of his conscience. Raskolinikov denies it and keeps advocating his theory with no sign of remorse. However, the ‘transgression’ only comes from his self-image as an ordinary murderer and his extreme hollowness that cuts him out of humanity. To reach self-consciousness he must go through several difficult phases. The real, official punishment begins in the epilogue, which means for Raskolinikov recovery and moral regeneration. His redemption comes from without, from another character who constitutes his alter e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