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 지로두의 극중극 연구- 『38번째의 암피트리온』에서 『샤이오의 광녀』까지 (A study on a play within a play in Jean Giraudoux’s drama - From Amphitryon 38 to La folle de Chaillo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4.11
22P 미리보기
장 지로두의 극중극 연구- 『38번째의 암피트리온』에서 『샤이오의 광녀』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56호 / 141 ~ 162페이지
    · 저자명 : 박은영

    초록

    장 지로두의 연극에는 무대의 배경이나, 배우의 연기에 관한 무대지시어가 인색한 편이다. 반면 ‘현실’과 ‘연극’으로 무대를 이분화 하는 극중극은 그의 작품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38번째의 암피트리온』, 『엘렉트라』, 『유딧』, 『소돔과 고모라』, 『샤이오의 광녀』와 같은 다섯 작품을 대상으로, 여기서 나타나는 극중극의 구조와 양상,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극중극의 연극 미학과 연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 연극’으로 일컬어지는 장 지로두의 작품에 나타나는 극중극은 주로 등장인물들이 나누는 담화의 수신자 층위, 등장인물의 역할 혹은 역할 놀이에 의한 배우의 층위, 스펙터클의 이원적 층위 등등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와 양상을 띠고 있어 기존의 극중극에 관한 이론을 탐색의 도구로 삼기에 적합한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극중극에는 정원사와 소녀들과 같은 인물들이 단골로 등장한다. 이들의 경우는 고대의 비극에서 코러스가 맡았던 프롤로그를 이끄는 인물이자, 극중극에서의 배우와 내적 관객의 역할을 오고 가면서 지로두의 극 텍스트들의 관계를 공고히 하는 연결 고리가 되는 가하면, 원텍스트와 파생텍스트의 공통분모로서 지로두가 신화를 패러디한 흔적을 드러내는 요소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이 두 인물들은 지로두에게 있어서 연극의 출발점이 되었던 신화적 세계 혹은 기존의 원텍스트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환상의 세계와 연극성을 자신만의 극중극의 공간에서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는 지지대인 동시에, 비현실 속에 현실을 들여놓고 새로움으로 오히려 옛것을 환기하는 그의 고유한 극작술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ean Giraudoux is sparing in his stage directions regarding the stage itself or the performance of the actors in his plays. On the other hand, one can often see a ‘play within a play’ in his works in which he attempts to create a dichotom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on the stage. This study endeavors to inquire into the theatrical aesthetics and theatricality in Giraudoux’s plays within plays by examining their structure and dimension, and characteristics as they appear in the following five works: Amphitryon 38, Electre, Judith, Sodome et Gomorrhe, La Folle de Chaillot.
    It suffices to utilize the conventional theories of plays within plays as the tools of exploration in light of the fact that his ‘plays within plays’ exhibit the structure and dimension formed by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the roles of the characters on the stage, and the doubling of the spectacles. For example, in Giraudoux’s plays within plays one sees the very frequent appearance of the gardener and the young girls. These are the leading characters in the prologue, as well as the connecting link that relates his many theater texts to one another by playing the role of the internal audience for the actors in his plays within plays. Furthermore, these characters serve as clues that reveal Giraudoux’s parodying of mythological accounts.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s form the support base that enable Giraudoux to go beyond the hypotext and give free rein to the world of illusions and theatricality in the space of the plays within plays. One can say it is the origin of a unique dramaturgy in which the old is evoked by the new by placing reality in the midst of non-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