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 번역서의 대중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국학진흥원 사례를 중심으로- (Strategies for Developing Popular Culture Content from Classical Translation Work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고전 번역서의 대중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국학진흥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번역연구 / 15호 / 231 ~ 265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다양한 고전 번역서를 대중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한국국학진흥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발전적인 모델과 방향성을 고민해 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집필되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대중문화콘텐츠 시장에서 고전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대중문화콘텐츠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고전이 되기 위해 대중문화콘텐츠 사장의 필요와 한계를 기반으로 어디까지 번역해야 할 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논의의 기반 위에서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와 여기에서 파생된 시도를 사례로, 좀 더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은 우선 대중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고전이 되기 위해서는 현대적 관점에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인들이 향유 가능한 소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나아가 이러한 소재들을 창작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1차 번역을 통한 언어장벽 해소를 넘어, 전통과 역사에 대한 이해의 부재에서 오는 문화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스토리테마파크의 기본 입장과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창작자들 관점에서는 파편화 된 정보를 전체 스토리로 재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도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논자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을 따라 스토리를 중심으로 그와 관계된 모든 삶의 요소들을 통합시켜 제공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창작 가능한 소재를 기반으로 창작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다시 말해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 체감 가능한 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를 잘라내고, 그 시간 속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시켜 내는 미시사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는 보수적 개념의 번역을 넘어서는 단계인데, 이 단계에서 우리는 ‘번역에 번역을 더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작업은 특정 번역 전문가나 고전 전문가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developing classical translation works into popular cultural content,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SI), and to propose a more advanced model and direction based on these insight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how classical works can be utilized in the popular culture content market. It then discusses the extent to which classical works should be translated to meet the demand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arket, ensuring their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content creation.
    Building on this discussion, the study delves into the KSAC’s Story Theme Park and related initiatives as examples, offering more concrete directions for advancem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aking classical works engaging and appealing from a modern perspective, providing materials that contemporary audiences can appreciate. Furthermore, it emphasizes that to support creato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overcome linguistic barriers through primary translation but also to address cultural barriers stemming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tradition and history.
    Using KSI's <Story Theme Park> as a case study, the paper reviews its foundational approach and content offerings. Despite these efforts, challenges remain, particularly from the creators' perspective, in reconstructing fragmented information into cohesive narratives. To address this issue, the author advocates for the integration of all life elements related to a specific event or figure, structured around a central story.
    This necessitates a microhistorical methodology, which involves isolating stories within a tangible timeframe relevant to everyday life and combining diverse elements within that timeframe. Such an approach extends beyond traditional concepts of translation, underscoring the need for what the author terms "translation of translations." This phase requires collaboration among experts across various fields, as it cannot be achieved solely by individual translation or classical studies special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번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