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고전번역원 고전 대중화 사업의 현황과 과제 (The Status and Problems of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s in the ITKC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5.06
34P 미리보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 대중화 사업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5권 / 35 ~ 68페이지
    · 저자명 : 하승현

    초록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실질적인 내용이 되어 줄 원천 소스로서 전통문화 콘텐츠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 대중화 사업의 필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고전 대중화 사업은 “고전이 대중 사이에 널리 퍼져 친숙해지게 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요 사업인 원전 정리 사업, 고전 번역 사업, 인재 양성 사업, 고전 번역 연구 사업, 정보화 사업은 모두 궁극적으로 대중화라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주요 사업 내용이 대중화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전이 대중 사이에 널리 퍼져 친숙해질 수 없다면 주요 사업의 의의 또한 약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고전번역원은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 시절부터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1970년대 후반부터 고전 독서회 결성, 고전 교양 도서의 편찬, 우리 고전 읽기 운동 등을 통해 사회 각층의 호응을 얻었고 민족 문화의 보급과 창달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 출범 이후에는 대중화 사업으로 ‘고전번역서 출간’, ‘한문고전 자문서비스’, ‘고전산책’ 메일링서비스, 소식지 ‘고전사계’ 발행 등을 해왔고, 고전 문헌에 관한 국내외 교류 및 협력 사업도 진행해 왔다. 이 외에도 2012년부터는 교육부 수탁 ‘초․중등용 고전읽기 자료 개발 및 보급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고전에 대한 수요 증대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고전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동․청소년의 읽기 자료 폭을 확대하는 것이다.
    고전 대중화 방향은 크게 고전 번역의 콘텐츠화와 고전 콘텐츠 이용의 활성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전 번역의 콘텐츠화를 위해서는 번역 서종의 다양화, 고전 번역 성과 재가공, 고전 이야기 자료집 구축, 영상 콘텐츠 생산 확대가 필요하다. 고전 콘텐츠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독서 모임 활성화, 디지털 매체 활용 활성화, 고전 콘텐츠의 세계화가 필요하다.
    한문으로 된 우리 고전을 대중화하는 일은 역사 문화 정보의 대중화이기도 하고, 공동체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공감대의 확산 장치이기도 하다. 번역이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꾸는 것이라면, 대중화는 소수의 이용자를 다수의 이용자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원전 정리 방식, 번역 방식, 출판 방식, 대상 독자, 전달 매체 등을 바꾸는 과정이다. 따라서 대중화는 기획 단계부터 콘텐츠 개발을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어 진행해야 한다. 번역원의 모든 사업 부서에서 사업 성과의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고, 대중화 사업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때, 대중화 사업이 튼튼한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Classic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ime, as they are a source of content for various digital media, and also in part because the need for popular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eems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s serves as a means to spread Korean cultural heritage to the general public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familiarize the audience with those classics. In that sense, the organization of original texts, translation of classics, training of competent people, investigation of translated classics, and promotion of information are the main task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ereafter ITKC)--which eventually build up to the idea of popularization. Even though the main efforts all targeted popularization, if ITKC failed to spread the Korean classics, along with the public who were unfamiliar with the Korean classics, then the project cannot avoid being weakened.
    ITKC has made great effort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since the founding of the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민족문화추진회), the precursor to the ITKC. In the late 1970's, the ITKC received positive feedback from diverse societies through various actions such as making a classic reading club, publishing classic cultural books, and through the movement for reading Korean classics. ITKC also contributed not only to supplying a fair part of Korean culture--but progressing it as well.
    After its foundation in 2007, ITKC published classics in translation, served as consultant for classics in Chinese, mailed 'Stroll with the Classics', and published a newsletter named, 'Four Seasons with the Classics,' as a means to popularization. ITKC also promo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changes for classic texts. Additionally, ITKC made further progress in 2012 by taking charge of developments, and spreading the practice of reading the classics amongs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the increasing demands, the aim of this service is to develop various classical materials and to expand the available texts for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Classic popularizatio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aking translated contents and putting the translated contents to use. To make translations, we have to diversify the kind of books, reprocess the results of translation, and make a story bank and expansion of the visual contents. For the usual use of the contents, we need educational programs, book clubs,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and globalization of the contents.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s (originally in Chinese), is rooted in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culture. It is also a system for expanding sympathy for our very own community.
    The act of translation is simply changing one language into another, whereas popularization requires changing of methods for categories. This complicated process could include steps such as: collecting classical content, translation, publication, targeting readers and transporting media for a great number of users--not just for a select few.
    By design, the process should be centered around demand, not the content suppliers. The service of popularization could take root in depth when every department in ITKC works with like-minds, focused on the idea of popularization, and with the system for expansion in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