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공간과 종교공동체—미래 사회 새로운 교회 모델을 위한 대안 모색 (Cyberspace and Religious Community - A Study of Alternatives for the New Church Model of Tomorrow)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11
30P 미리보기
사이버공간과 종교공동체—미래 사회 새로운 교회 모델을 위한 대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4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이길용

    초록

    이 논문은 사이버공간 내 새로운 종교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공간은 컴퓨터 통신을 매개로 형성된 사회관계이다. 21세기를 전후로 사이버공간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미국의 제니퍼 콥과 한국의 최인식 등이 이러한 작업의 선두에서 움직였다. 그러나 이들이 지속적 탐구대상이 되어야 할 사이버공간 속 종교공동체는 좀처럼 안착하지 못했다. 사이버공간 내 종교공동체, 혹은 사이버교회의 실패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이 글에서는 칙센트미하이의 ‘몰입’과 치데스터의 ‘촉각’으로 신학적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사이버공간은 신체적 활동이 불필요하다. 신체 없이 아이디(I.D.)로, 즉 사이버 자아로 활동하게 되는데, 그런 상황에도 개인적 몰입은 가능하다. 이 점은 사이버공간 내에서도 종교적 몰입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해주는데, 치데스터의 촉각론은 종교가 가지는 또 하나의 특성을 사이버공간이 제대로 충족하지 못함을 지적해준다. 종교는 인간의 전인적 반응이다. 따라서 몸이 지속해서 영성적 자극을 유지하지 못하면 사이버공간 내의 종교공동체는 일시적이고 잠정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이 주는 개인적 몰입도 간과할 수는 없기에 이 둘에 대한 절충적 보완이 향후 미래사회 교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아닌가 싶다. 즉 지역교회를 통해서는 몸을 지닌 인격체의 사회적 공감과 교류를 이어가면서도, 개인적 차원에서 영성 훈련을 위한 일상의 몰입을 위한 도구로 사이버공간을 활용한다면 몰입과 촉각을 동시에 만족하게 하며 지속성을 갖춘 온ㆍ오프 교회공동체의 모델이 세워질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religious community(or cyberchurch) in cyberspace. Cyber​​space is a social relation formed through computer communication. The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cyber space was actively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Jennifer Cobb and Choi In-Sik led this theological work. However, the religious community in cyberspace, where they should be subject to ongoing inquiry, has rarely been established. What was the cause of the failure of a religious community or cyber church in cyberspace? In this article,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was attempted by the 'flow' of Csikszentmihalyi and the 'tactile sense' of Chidester. Cyber​​space is unnecessary for physical activity. In cyberspace, users act only as cyberself, or ID without body, and personal ‘flow’ is possible even in such situation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commitment in the cyberspace. But Chidester's ‘tactile sense’ theory points out that cyberspace does not adequately fulfill another characteristic of religion. Religion is the universal reaction of human beings. Thus, if the body continues to maintain spiritual stimulation, the religious community within cyberspace will be temporary and provisional. However, since personal flow in cyberspace can not be overlooked, an eclectic complement to the two will be a direction for future social churches. On-off church communities will be established when cyberspace is used as a daily tool for spirituality by raising the level of individuality and maintaining social empathy with the body in the local churches, thereby satisfying both the ‘flow’ and the ‘tactile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