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국내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es of Onlin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and Improvement Direction - focused on cyber university in Korea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6.08
16P 미리보기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국내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7권 / 4호 / 341 ~ 356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온라인 디자인 교육 및 교육콘텐츠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국내 사이버대학 디자인 교육콘텐츠 비교 분석 및 온라인 디자인 학습자 특성 정보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S디지털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내용들을 토대로 온라인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디자인 교육콘텐츠 개발을 해봄으로써 향후 사이버대학 디자인 교육콘텐츠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향후 사이버대학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그리고 각 학생들 수준이나 요구에 맞는 철저한 학습자 수준별 맞춤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2) 모든 교육콘텐츠 공통적으로 ‘학습이유 및 학습목표 제시-학습활동 실시 - 자기평가 - 정리’의 과정으로 구성하고 학습자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령 및 수준에 맞는 사례 및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학습 흥미를 유도하고 스스로 진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 제작 시 학습자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4) 인터넷과 웹이 공동의 지식 창조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므로 이 기술을 제대로 활용하여 학습지원체제를 쌍방향으로 구성하여 축적된 일방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가 함께 지식을 창조해 갈 수 있도록 한다. 5) 비디자인 전공 신입생들이 졸업 후 각 개인별 진로 모색을 할 수 있도록 졸업 전 디자인 실무현장과 SNS의 활용법에 대해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교육콘텐츠를 제공하여 재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책임도 가져야 한다. 6) 온라인에서 교수자 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자, 외부의 제3자가 함께 학습과정의 성취도와 학습 성과물을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과제평가의 주관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유발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교육콘텐츠를 운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theory in online design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It conducted a survey of the digital department students of S Digital Universit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domestic cyber universities and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about online design learners' characteristics. After all, the study aimed to seek directions to be improved for the futur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cyber universities by developing design educational contents making the best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Direction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for the cyber university onlin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1) by developing thoroughly customized contents for each learner's level and demand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have various backgrounds, it should present to the students and allow them to select; 2) induces learning interest to the students and provides th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ir progress by themselves, by making them variously use cases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ir age and levels by composing all educational contents as a process of suggesting the reason why they learn and their objectives of learning - practising learning activity - self-evaluation - arrangement and by reflecting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3)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nlin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it should mak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possible; 4) by building two-way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web technology properly, for it enables activity of creating common knowledge, not by providing cumulative unilateral information, it help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professors enable to create knowledge together; 5) to make non-design freshmen seek their career individually after they graduate, b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to experience in advance how to use SNS and the design practical field before they graduate, it should take a role and responsibility as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onsiders students' career even after they graduate; 6) by helping complement the subjective aspect of design assignment evaluation with achievement and result of learning evaluated online not by a teacher but by fellow students and the third person of outside, it should run educational contents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