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깔뱅의 5대 강령을 통해 본 선교신학 - TULIP Missiology의 가능성 모색 - (Toward a TULIP Missiology (Calvinistic Missi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08.02
29P 미리보기
깔뱅의 5대 강령을 통해 본 선교신학 - TULIP Missiology의 가능성 모색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21호 / 163 ~ 191페이지
    · 저자명 : 김철웅

    초록

    칼빈주의(Calvinism)를 통한 선교신학(Missiology)은 가능한가?
    이 질문은 이 때까지 마치 조직신학의 전유물(專有物)만으로 여겨진 칼빈주의를 선교신학이라는 관점에서 재분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이다. 다시 말하면 ‘칼빈주의 선교신학’(Missiology on Calvinism)의 가능성을 생각하게 하는 질문이다.
    이 때까지 칼빈주의는 조직신학의 입장에서는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특별히 선교신학의 측면에서 분석한 학문적 사례(事例)는 거의 드물다. 왜냐하면 칼빈주의 연구는 우선 조직신학 분야에 속한 것이라는 고정 관념 때문이고, 더욱이 예정론에 대한 오해 때문에 칼빈주의는 선교신학에 아무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무의미한 교리라는 종전의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筆者)는 이 논서(論書)를 통하여 칼빈주의가 선교신학에 해로운 교리라는 종전의 왜곡된 고정 관념을 깨고 더 나아가 칼빈주의가 가지고 있는 선교신학적 의미와 그 가치를 밝히려 한다. 왜나하면 실제로 칼빈주의는 선교와 전도의 열정을 방해하는 교리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선교와 전도를 강화시키는 교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많은 칼빈주의자들의 변호에도 불구하고 칼빈주의는 선교신학에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왜 그럴까? 그 이유 중 하나는 그 모든 변호가 칼빈주의와 선교신학을 제대로 연결시켜 주는 ‘신학적 접촉점’(a theological point of contact)을 제시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시된 변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칼빈주의 5대 교리와 신교신학을 하나의 맥(脈)으로 이어 주는 신학적 접촉점은 무엇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 신학적 접촉점은 바로 ‘하나님의 주권’(神之主權: Sovereignty of God)이다.
    칼빈주의의 중심 개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칼빈주의의 중심 개념을 이중 예정론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칼빈주의의 핵심을 잘못 이해한 것이다. 칼빈주의 5대 교리의 핵심 주제는 이중 예정론이 아니라 바로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神之主權: Sovereignty of God)이다. 여기에 칼빈주의의 중심 개념을 이해함에 있어 나타나는 반전(反轉)이 있다. 이중 예정론은 어디까지나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을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신학적 산물(a theological outcome)이며, 논리적 귀결점(a logical terminal)이고, 동시에 최종 목표점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a process for the destination)이지, 결코 칼빈주의 5대 교리의 근본 주제는 아니다. 따라서 이중 예정론은 그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핵심을 잘 드러내도록 인도하는 촉매제(觸媒劑)이다.
    그렇다면 선교신학의 중심 개념은 무엇인가? 바로 ‘미시오 데이’ (Missio Dei: The Mission of God: 하나님의 선교)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선교신학자들은 선교신학의 신학의 중심점을 이 ‘Missio Dei’에서 찾고 있다. 글자 그대로 ‘Missio Dei’라는 말은 하나님의 선교로서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주권적 선교 사역을 강조한 신학 개념이다. 바로 하나님의 주권이 그 중심 개념이다. ‘Missio Dei’의 중심 의미가 하나님의 주권적 선교라는 주장은 구원이 오로지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임을 주장하는 칼빈주의 교리와 완전히 동일한 선상에 서 있는 말이다. 다만 칼빈주의는 ‘구원’에 있어 하나님의 주권을 말하고 있고, ‘Missio Dei’는 ‘선교’에 있어 하나님의 주권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칼빈주의는 ‘구원의 주권’이며 ‘Missio Dei’는 ‘선교의 주권’이다. ‘구원’과 ‘선교’가 바로 하나님의 주권 속에 다 들어 있는 것이다. 칼빈주의와 선교신학은 똑같은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토양(土壤)에서 자라난 나무들이다. 그런데 칼빈주의 교리라는 나무는 자라는 과정에서 ‘TULIP’이라는 다섯 가지를 뻗게 되었고, 선교신학이라고 하는 나무는 ‘Missio Dei’라는 줄기를 타고 자라난 것이다. 그러므로 칼빈주의와 선교신학이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개념 속에서 서로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또한 둘이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이해 속에서 상호 보완하며 협력할 수 있는 동역자가 될 수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주권 속의 칼빈주의와 선교신학’이라는 이러한 관계성은 우리로 하여금 이른바 ‘칼빈주의 선교신학’(Calvinistic Missiology) 또는 ‘튤립 선교신학’(TULIP Missiology)이라는 새로운 신학 용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그래서 필자는 개인적으로 이 용어가 이제는 선교신학 분야에서도 공식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제 칼빈주의가 우리의 선교 열망에 찬물을 끼얹는 교리라는 종전의 잘못된 해석과 인식은 배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신학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바로 ‘칼빈주의 선교신학’ 즉 ‘튤립 선교신학’이다.

    영어초록

    Can we shape a Calvinistic Missiology?
    What would a TULIP Missiology look like?
    TULIP has been five pillars to sustain a house of Calvinism. However, most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Missiology have spoken ill of TULIP. Because one of the derivative applications of TULIP is predestination (which means that salvation was predestined by Go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creation) may assume that a Calvinistic Missiology well lack urgency. It sounds to us that we do not have to evangelize and carry out any mission work.
    However, this kind of understanding results from misunderstanding the basic theological core of TULIP. The basic core of TULIP is not predestination but sovereignty of God. Predestination is a theological byproduct which emphasizes the sovereignty of God, and is not meant to give license to laziness to the Christian.
    There is a theological point of contact between TULIP and Missiology.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ULIP and Missiology is the sovereignty of God which implies the lordship of God.
    Is the sovereignty of God really at the core of Missiology as well? The answer is an absolute “Yes!”The reason is that Missio-Dei is the main theological core of modern Missiology. The concept of Missio-Dei is mission of God, mission by God, and mission in God. In short, Missio-Dei is a Triune-God centered theological concept. It also means that mission assumesthe sovereignty of God. At glance, TULIP and Missiology seem to be different. However, both were raised in the same internal root (the sovereignty of God).
    Therefore, any aggressive question toward TULIP in the light of mission must be carefully re-examined in the light of the concept, Missio-Dei,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sovereignty of God.
    The following is a frame to highlight TULIP Missiology.
    T: Total depravity and inability
    This presents us with an urgent impetus to Mission. What it means is 1) that since the fall humans are under the curse of sin, and 2) that humans are controlled by a wrong principle and 3) that humans are unable to seek God or salvation. The whole of a human’s being has been affected by sin. Humans are estranged from God. Humans can do nothing seeking to their salvation. It is the spiritual deadness. Humanity is blind to all pious things(Ezekiel 37). A bird with a broken wing is free to fly. However, it cannot because of its broken wing. Humanity is free to see God. However, humanity cannot because of its depravity and inability.
    U: Unconditional election
    Election is the work of the Father God. No aspect of this unconditional election is more emphasized than that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God could have chosen to save all. God could have chosen to save none. However, God did neither. Instead, God has chosen some to save. God has simply left non-elect in the sinful situation as they were. We never know why. We also do not have to know it. It is up to God (Romans 9:20). It is solely for God’s own good pleasure and sovereign will. God has no obligation to save all. The doctrine of the predestination came from this theological system. The non-elect are simply left in their previous state. Election is not determined by human’s will but God’s will. Election itself is not salvation, but it is for salvation. Those chosen (Unconditional election) are not saved until they are affected by Jesus Christ (Limited atonement) and regenerated by Holy Spirit (Irresistible grace).
    L: Limited and particular atonement
    Atonement is the work of Jesus Christ. Jesus Christ only died for some chosen people who were elected by God. Those chosen by God cannot be saved until they are affected by Jesus Christ. Salvation depends on God’s election. For this reason, Christ’s saving work is limited by God’s limited unconditional election. Since not all men will be saved by Christ’s saving work, a limitation must be admitted. If Christ’s work was intended to save all, God would be loser who did not complete his plan. The value of the saving work of Jesus Christ is universal. However, the effect of the saving work of Jesus Christ is limited. 1 Timothy 2:4-6 does not means that Christ died for all men without distinction (He died for Jews, Gentiles, Korean…). It never means that Christ died for all men without exception (He died for all humans).
    I: Irresistible and efficacious grace the work by Holy Spirit
    It is the work of Holy Spirit. Two great acts (election and atonement) cannot complete the work of salvation until those chosen people are regenerated by the irresistible grace of Holy Spirit. Holy Spirit never fails to bring the chosen people to salvation. Although humanity is sinful enough to reject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otal depravity and inability), the chosen are drawn by an irresistible calling. Of course, those who are not chosen experience a general calling, which is resistable.
    P: Perseverance of Christians
    It is the result of the mission being carried out by God. Those who are elected by God, atoned for by Jesus, and regenerated by the Holy Spirit keep staying in faith by the protection of Triune God. True believers can commit sin again. However, the sin does not cause them to lose their salvation. Nothing can separate the saint from God’s love. (Luke 15.) Those who were once chosen by God cannot fall away and be lost by God. C. H. Spurgeon: The believer, like a man on shipboard, may fall again and again on the deck. However, he will never fall overboard.
    In sum, T and P show not only urgent need and reason for mission but also undisputed result of mission. Both (T, P) identify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mission. U, L, and I showTriune-God’s saving work and how the Father, Son, and Holy Sprit share the work.
    In conclusion, it is inaccurate to say the doctrine of TULIP absolute prevents us from devoting our effort into mission. Rather, TULIP, seen from a different angle, compels us into mission. The best example is the life of St. Paul. He was a person who gave many doctrinal resources for the doctrine, TULIP. He was also sure that he was predestinated by God for salvation and called by God to be a missionary for Gentile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never bothered him. Rather, his sense of God’s sovereignty spurred his missionary endeavor.
    We need toreconsider the real meaning of TULIP in the light of the sovereignty of God for salvation before saying that TULIP contradicts 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