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렁덩덩신선비>와 인도네시아 <뱀 남자>에 보이는 샤먼의 설화적 변모 (Narrativ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Tale and Indonesia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10
25P 미리보기
&lt;구렁덩덩신선비&gt;와 인도네시아 &lt;뱀 남자&gt;에 보이는 샤먼의 설화적 변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6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구렁덩덩신선비> 설화는 우리에게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아르네-톰슨 유형분류에 ‘AT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항으로 올라 있다. 옌젠과 니게마이어는 1937년에 인도네시아의 몰루카 제도의 세람 섬에 거주하는 원시부족에게서 <뱀 남자> 또는 <뱀 남편>이라는 몇 편의 설화를 조사 보고했다. 이 원시부족에게서 전해지는 <뱀 남자>설화에는 우리 <구렁덩덩신선비>나 그리스, 프랑스의 동종 민담과 같은 화소를 가지고 있다. 죽음과 재생의 대립과 조화라는 주제를 더 잘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그 과정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구렁덩덩신선비> 설화의 의미도 보다 명료해지기를 기대한다. <구렁덩덩신선비>는 신화로 해석되기도 하고 결혼과 여성 성숙의 심리학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어째서 그런가를 <뱀 남자>설화를 매개로 해서 이해할 수 있다.
    동물 또는 자연과 인간이 하나였던 시절이 있었다. 이들은 서로 결혼할 수 있었다. 인간이 동물성을 벗어버리는 계기가 있었다. 이는 음식으로 대표되는 바 문화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간과 자연은 완전히 분리되었다. 그러나 죽음이라는 실존의 문제를 더욱 의식하게 된 인간은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샤먼의 존재를 요구했다. 동물과 인간의 체험을 두루 가진 사람이 샤먼의 역할을 맡았다. 이 설화는 세람 섬의 주민들이 오랜 세월에 거쳐 겪었을 이러한 역사적 전개를 종합해 설화화한 역사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런 설화가 짧고 단순하면서도 깊이 있는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런 데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렁덩덩 신선비>설화는 무당의 모습을 이원화하여 보여주었다. 신랑의 서울로의 여행은 그가 샤먼적 기능에서 멀어져감을 보여준다. 후반부의 뱀신랑은 신적인 기능을 잃고 그저 아내를 그리워하는 평범한 남자로 나타나고 오히려 어머니에게 매인 아들로 보인다. 색시의 여행은 갈수록 과거의 자기를 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여주어 크게 대조된다. 그런데 그 과정이 결국은 시집에 자기를 맞추는 여성적 삶의 과정으로 변모되었다.
    <뱀 신랑>이 창세신화적 면모를 떨구지 못한 채 샤먼의 기능을 세상에 나타내는 설화라면, <구렁덩덩 신선비> 설화는 샤먼적 역할이 약화되며 결혼의 과정으로 치환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경우 “바리데기”에서 보여주는 강력한 샤먼 신화로 강화되는 반면에, 이 이야기처럼 입사식의 민담으로 약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쪽으로 가는 이원화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folktale of “Gureungdungdung Shinseonbi” is famous not only for us but also for the world. It is listed in the category “AT425, 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in the Arne-Thomson category. In 1937, Jensen and Niggemeyer investigated and reported several tales, “Snake Man” or “Snake Husband,” from a primitive tribe living on Seram Island in Indonesia’s Moluka Islands. In the story of “Snake Man” handed down from this primitive tribe, it has pixels like our “Gureungdungdung Shinseonbi” or the folk tales of Greece and France. I understand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underworld and the subject of transportation are better revealed and I want to show the process. “Shinseonbi” is interpreted as a myth or as a psychology of marriage and female maturity, and you can understand why through the <Snake Man> story.
    Compared to “Gureungdungdung Shinseonbi” the big framework for the youngest daughter to marry the snake groom is the same, but we do not see the pixel that the sisters kill the youngest and revive the dead sister. There was a time when animals or nature and humans were one. They could marry each other. There was an opportunity for humans to take off their animal nature.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culture represented by food. In this way, man and nature are completely separated. However, humans, who became more conscious of the existential problem of death, demanded the existence of Shaman who could overcome death. A person with both animal and human experiences played the role of Shaman. This folktale can be understood as a history of narrat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at the residents of Seram Island have experienced over the years. It is thought that this is the reason why this narrative is short, simple, and deeply interested.
    The legend of “Gureungdungdung Shinseonbi” showed the appearance of a shaman in a dual way. The groom’s trip to Seoul shows him moving away from the shamanic function. In the second half, the snake groom loses his divine function and appears as an ordinary man who simply misses his wife, and rather appears to be a son bound by his mother. Bride’s journey is in great contrast as it shows the process of abandoning the past self and being reborn as a new being. However, in the end, the process was transformed into a feminine life process that fits itself into a collection of poems.
    In summary, if “Snake Man” is a story that shows the function of shaman to the world without losing its mythical aspect, the “Gureungdungdung Shinseonbi” story shows that the role of shaman is weakened and replaced by the process of marriage. On the one hand, while Korea is reinforced by the strong shaman myth shown in “Baridegi,” it can be seen that dualization has been achieved in the direction of weakening into the folktale of the initiation cer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