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뱀 (‘Snake-Women’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0.03
36P 미리보기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46호 / 123 ~ 158페이지
    · 저자명 : 이경미

    초록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뱀은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또한 인간과 함께 유구한 역사를 함께 해 오면서 때로는 두려운 존재로, 때로는 다산을 약속하는 풍요의 이미지로 사람들의 마음에 각인되어 왔다. 이러한 뱀의 이중적(二重的)인 이미지는 고대 신화와 설화 속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어 사람을 죽이는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공포와 혐오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다산성과 가복(家福)의 화신이기도 하였다. 신화와 설화가 점차 문자화되면서 뱀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고전 문학 속에 그대로 투영되었고, 특히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특히 여성과 뱀간의 상호변이(相互變異)와 연결되면서 동양 특유의 유불교 사상에 기반을 둔 가부장체제의 남존여비사상과 중첩되어 다중적(多重的)인 이미지로 재현되게 되었다.
    한중일 고전 문학 속에 나타난 ‘뱀’과 ‘여성’간의 다중적인 상관관계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형상들에 내재된 의미들을 분석해 보면, 먼저 다산과 풍요를 가져다주고 인간을 위해 희생하기도 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다수의 문학 작품 속에서는 악의 이미지가 강하고 결말이 비극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불교에서는 여성을 남성의 성불(成佛)을 방해하는 주체로 이해하여, 그 이미지를 뱀과 연결 지음으로써 이러한 의식들이 작품 속에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부정적이라는 공통점 이외에, 한중일 고대 삼국의 역사,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하여 문학작품 속에 형상화된 ‘여성’과 ‘뱀’의 상관관계간의 차이점도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For all ages and countries, snakes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and from time immemorial with humans they are stamped as dreadful one, but sometimes carved as affluent image, guaranteing fecundity in our minds. This duplicated image has been described in ancient myths and folklores, in which snakes are subject that take human life with fatal toxin as fear and disgust itself as well as incarnation of fecundity and domestic happiness. Myths and folklores being formulated into written literatur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mages of snakes are also projected intactly in ancient literature.
    Especially in ancient literature of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the multiple and complicated images have been reproduced in the male-dominated culture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tertwined with the mutation between women and snakes.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 and meanings of the snake and women shows the positive image which produce the fecundity and fertility and sacrifice for human at first. But on the other hand, negative image of the snakes are strongly demonstrated in many literature influenced by the male-dominated culture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where the snake's evil image dominated and the stories came to the tragic ending. Particularly in Buddhism the women's images have been understood as disrupter having men's attaining Buddhahood frustrated and they have been connected with negative one of the snakes, written in the literature fully. Despite of common ideas shown in East-Asia ancient literature, some differences to see the relation of women and snak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s because these three countries hav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