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백사전(白蛇傳)> 수용을 중심으로 (Locality of East Asian Media Narratives after World War II ― 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 ‘Bai-she-zhuan(白蛇傳)’ in the Nation-state Films of Japan, Korea, and Chin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8.08
28P 미리보기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lt;백사전(白蛇傳)&gt; 수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소설논총 / 55호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최영희, 문현선

    초록

    2차 대전 이후 동아시아 각국은 새로운 세계 질서에 부합하는 민족국가의 건설에 주력하였다. 특히 사회 질서의 재건과 국민 정체성의 확립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가장 현대적인 매체이자 ‘꿈의 서사’로서 영화는 이와 같은 공동체적 목표에 부응해 새로운 세계 질서에 따르는 이상적인 국가와 민족의 이미지를 그려냈다. 인간과 인간이 아닌 이류(異類) 사이의 결합을 그리는 ‘이류연애담(異類戀愛談)’으로서 <백사전(白蛇傳)>은 이류가 인간 세계에 정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그리며, 그 과정을 통해 해당 공동체가 추구하고 강제하는 ‘인간의 조건’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이 글은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해 일본영화 <백부인의 요련>, 한국영화 <백사부인>, 중국영화 <백사전>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각 국가 및 지역의 영화들이 보여주는 조건의 차이를 확인하며, 그 차이가 환기하는 공동체의 사회 질서 및 개인의 욕구와 소망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당시 동아시아 각국의 중국영화 영화는 매체 특유의 은유와 환유의 방식을 통해 사회의 급진적인 변화와 불변하는 인간의 조건을 표현해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After World War II, eac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that conforms to the new world order. Especially,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were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be solved. In East Asia during the 1950s~1960s, as the most modern media and ‘narrative of dreams’, the film portrays the image of an ideal nation-state based on a new world order In response to this collective goal. As a kinds of ‘a love story of betweent different species(between human being and not human being)’,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 ‘Bai-she-zhuan’ depicts the struggle for relationship to settle in the human world and paradoxically demonstrates the ‘conditions of human being’ that the community pursues and enforces through the process. This paper at first analyzes the media narrative of the Japanese movie <The Legend of the White Serpent>, the Korean movie <Madam White Snake> and the Hong Kong movie <Madam White Snake> by semiotic methodology, and to the next tried to read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s of ‘nation’ that the movie depicts in each country and region, and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social order and the Individual desire in the local communities evoking the differe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i-she-zhuan’ films of East Asian countries at the time expressed the radical change of society and unchanging human condition through the medium of metaphor and metony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소설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