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 명문을 통한 제작 하한 시기와 표기 배경 검토 (A Research of Identify when the Inscription is Marked and the Lower Limit Period for Production of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in the Seoul Museum of Craft 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10
37P 미리보기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lt;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gt; 명문을 통한 제작 하한 시기와 표기 배경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104호 / 141 ~ 177페이지
    · 저자명 : 박정민

    초록

    이 연구는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서울시 유형문화재)에 표기된 명문을 분석하여 명문의 표기 시점인 제작 하한 시기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는 저부에 ‘을ᄉᆞ ᄌᆞ궁이’이라는 명문이 점각(點刻)으로 표기되어 있다. 명문은 간지, 그릇이 속한 장소, 수량의 조합으로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가 을사년 이후 자궁에 속한 2쌍의 항아리 가운데 하나임을 명기하고 있다. 명문 가운데 ‘을사’라는 간지는 그릇이 해당 소속처의 재산이 된 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명문이 새겨진 그릇의 제작 하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간지 명문은 매 60년마다 반복되는 특성 때문에 시기를 특정하는데 종종 이견과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 간지와 함께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에 표기된 ‘자궁’은 그릇의 소속처로써 을사년을 특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조선 후기 왕실의 상황을 감안할 때 명문의 자궁은 정조(正祖)의 생모(生母) 혜경궁(惠慶宮)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을사년은 1785년(정조 9)으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
    명문 내용 해석을 통해 해당 유물이 속했던 장소와 명문 표기 및 제작 하한 시기를 확보한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는 상대적으로 편년 자료가 부족한 18세기 후반 분원리 시기 관요 백자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criptions marked in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of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SeMoCa), which was recently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Seoul city,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inscription and the lower limit of production time.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one of main collection of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has the inscription ‘을ᄉᆞ ᄌᆞ궁이’ etched on the bottom as dots. The inscription consists of the sexagenary cycle(干支), the place where the porcelain belongs and quanti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 two pairs of jars belonging to the Jagung palace in Eulsa year.
    The sexagenary cycle included in the inscription represents the year when the porcelain became the property of the place where the porcelain belongs. Therefore, the sexagenary cycle is an important basis for determining when a porcelain with inscription was actually used. Among the inscription, sexagenary cycle represents the year in which the jar became the property of the place, so it is also the lower limit of the production time of the jar with the inscription on it.
    On the other hand, the sexagenary cycle inscription is always divided and controversial in specifying the tim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xagenary cycle, which is repeated every 60 years.
    The ‘Jagung(ᄌᆞ궁)’, which is the place of use marked with the sexagenary cycle of ‘Eulsa(을ᄉᆞ)’ in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of SeMoCa, can be the basis for specifying the Eulsa Year.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roy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scription ‘Jagung(ᄌᆞ궁)’ refers to King Jeongjo’s biological mother, Hyegyeonggung and her Palace itself. If so, Eulsa(을ᄉᆞ) year can be identified as 1785(9th year of King Jeongjo).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which can be recognized as a porcelain located in Jagyeongjeon Hall(慈慶殿), the residence of Hyegyeonggung, is a measure of the status and level of blue and white porcelain placed around the king's mother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18th century. Moreover, this jar is an important relic that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in the royal kiln during the Bunwon-ri period in the second half of 18th century, when there was a lack of chronological data Keywords :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banana and chrysanthemum pattern, Eulsa(을ᄉᆞ) year, Jagung(ᄌᆞ궁), Hyegyeonggung, Banana pattern, Dot and dot inscri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