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정화하는 드라마와 놀이하는 시청자 -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의 <05학번이즈백>를 중심으로 - (Emotionalization Drama and Playful Viewers - Focusing on the Youtube Channel ‘Psick University’'s <05 is Back>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감정화하는 드라마와 놀이하는 시청자 -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의 &lt;05학번이즈백&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84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송치혁

    초록

    이 글은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의 <05학번이즈백>을 중심으로 유튜브 시대 드라마 콘텐츠의 변화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유튜브의 다른 코미디 채널들이 단편 영상을 기반으로 한 스케치 코미디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피식대학’은 대본에 기반하여 특정 캐릭터를 형성함으로 허구적 세계관을 연결시키는 데 집중한다. 각각의 캐릭터들은 채널 안에서 여러 에피소드에 출연하며 중첩된 서사를 부여받는 것으로 극적 특성을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피식대학’만의 고유한 콘텐츠를 형성해낸다. 그 중에서도 <05학번이즈백>은 기존 롱폼 콘텐츠에서 보기 어려운 장르 간의 융합과 재구성, 서사의 분절, 캐릭터의 공유 등을 지속적인 시리즈 형태의 숏폼 콘텐츠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 이 글은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의 <05학번이즈백>을 중심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감정화’와 ‘놀이’를 통해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재현되는 특정한 ‘감성’을 확인함으로써 유튜브 시대 드라마의 생산과 소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감정과 놀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놓고 드라마 소비의 변화에 대해서 짚어보고자 했다. 1인미디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제작되던 유튜브의 숏폼 콘텐츠는 유튜브의 수익모델 확보에 따라 기성 미디어의 관습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고유한 인터페이스를 확보해나가며 오리지널 콘텐츠의 서사와 형식을 구성해나갔다. 이 과정에서 유튜브의 이용자들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큐레이터와 아카이비스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콘텐츠의 생산에 참여한다는 환상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잘 만들어진 서사에 대한 욕망보다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하여 분절된 서사를 개인화된 방식으로 전유하려는 욕망이 더 강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부캐와 패러디를 통한 놀이적 속성은 숏폼 콘텐츠의 주된 미학적 특징으로 부각하게 된다. 이를 증폭시키는 것은 2차 창작을 통해 고정된 알고리즘에 개입하려는 시청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다. 시청자들은 원 콘텐츠와 상관없이 세계관을 확장시키고 캐릭터의 생산과 소비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려는 욕망을 알고리즘에의 참여를 통해 구현하려 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05학번이즈백>은 2000년대를 드라마타이즈화하여 즉각적인 공감을 통해 감성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감정의 과잉과 빈곤한 이미지를 통해 재현되는 2000년대는 레트로라는 특정한 감성의 재현과 연결되어 시청자들의 기억과 정서가 부재함에도 불구하고 막연한 그리움을 느끼게 만드는 극적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성 미디어의 수용자 입장에서는 잘 짜여진 서사, 수준 높은 촬영기술, 스타시스템 등이 드라마를 즐기고 몰입하는 주요한 요소였다. 반면 유튜브에서는 느슨한 서사, 빈곤한 이미지, 과잉되고 조악한 캐릭터 등이 드라마를 구성하는 요소로 활용된다. 이는 자본과 기술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플랫폼에 최적화된 형태로 극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략적 결과로도 볼 수 있다. 상호작용을 통해 알고리즘에 개입하고 스스로 재미를 찾으며 감성을 전유하고 재구성하려는 욕망이 드라마라는 양식을 통해 강화된다는 점은 분명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유튜브 시대에 드라마라는 예술 양식의 수용에 대한 또 다른 국면을 제시하는 것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evolution of drama content in the Youtube era, focusing on the channel "Psick University" and its series <05 is back>. Unlike other comedy channels on Youtube that emphasize sketch comedy through short, standalone videos, "Psick University" centers on building fictional worlds by developing characters based on detailed scripts. These characters appear across multiple episodes, creating interconnected narratives and establishing the channel's distinctive content style. Among its productions, <05 is back> possesses unique characteristics by incorporating genre fusion and reconfiguration, narrative fragmentation, and character sharing—elements rarely seen in traditional long-form content—into a continuous series of short-form videos.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ors and consumers in the Youtube era forms through "emotionalization" and "play", focusing on the consumption of specific "sensibilities" recreated in this context. The study examines changes in drama consumption using two key concepts: emotion and play. While early short-form content on YouTube reflected the traits of individual-driven media, the platform has increasingly adopted the conventions of traditional media to establish sustainable revenue models. Simultaneously, it has developed original storytelling and formats tailored to its unique interface.
    In this environment, Youtube users take on roles as curators and archivists, actively participating in content production, or at least experiencing the illusion of doing so. Consequently, the desire to engage in constructing a database often outweighs the desire for a polished, linear narrative. This shift highlights the playful attributes of short-form content, particularly through the use of alternate personas and parody. Viewer engagement in second-hand creations amplifies this dynamic, as audiences actively interact with fixed algorithms to expand the narrative world and participate in character creation and consumption.
    <05 is back> exemplifies this phenomenon by dramatizing the early 2000s to create a communal sensibility based on instant relatability. The representation of this era—marked by an excess of emotion and sparse visuals—evokes a vague sense of nostalgia, even for viewers who lack direct memories of it. This is a dramatic strategy tied to the reproduction of retro sensibilities, connecting with viewers’ emotions and recoll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media consumers, tightly constructed narratives, high production values, and star-driven systems have traditionally been key to enjoying and immersing in dramas. Conversely, on YouTube, loose narratives, low-quality visuals, and exaggerated, sometimes crude characters form the backbone of drama creation. While these differences partially stem from disparities in capital and technology, they also represent strategic decisions to optimize storytelling for the platform. The desire to interact with algorithms, find enjoyment through personal effort, and appropriate and reconstruct sensibilities underscores a shift in the consumption of drama as an art form.
    Ultimately, this suggests that the Youtube era introduces a new dimension to how dramas are received, reshaping their artistic framework and cultural relev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