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지리학을 통해 본 소설의 공간과 장소 -최은미의 「근린」, 「백 일 동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space and place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 Focused on a “Geunrin” and “BaekIldongan” by Choi Eunm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0.11
25P 미리보기
젠더지리학을 통해 본 소설의 공간과 장소 -최은미의 「근린」, 「백 일 동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83호 / 57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지, 김미영

    초록

    이 글은 젠더지리학의 시각으로 최은미의 단편 「근린」과 「백 일 동안」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젠더지리학은 인본주의 지리학에 젠더의 개념을 추가하여 삶의 양식, 의미부여 등의 차이에 따라 사람이나 장소마다 독특한 속성을 가지게 되는 이유와 과정을 설명한다. 개인의 장소 경험과 공간의 의미화 과정에 있어 젠더와 공간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문학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물의 삶을 살펴보는 것은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감상은 물론 작품에 투영된 문화와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최은미의 「근린」은 도시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 침투 현상과 현대 사회에서 젠더와 공간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관계를 맺는 방식을 보여준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 보여주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 침투는 사회 체제에 의해 구성된 공간의 해체를 의미한다. 주요 배경인 근린공원의 인물들은 대다수가 여성으로서 익명성 속에서 모순적인 이웃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데올로기는 사회적 공간의 경계를 공고히 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순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공간 체제로부터 소외당하게 된다. 기존 사회 체제의 부적응자, 이탈자가 늘어날수록 사회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공간의 균열은 결국 경계의 와해, 공간의 해체로 이어진다.
    「백 일 동안」은 모성 지향의 공간, 달리 표현하면 신화적 공간을 추구하는 한 남성의 욕망이 좌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강상기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가족 간의 유대감 상실, 애인의 실종 등과 같은 아픔을 간직한 인물이다. 그의 욕망은 어머니와 유일하게 지냈던 시간 ‘백 일’을 전유하기 위해 고향 제이골에 한옥 ‘자미재’를 건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이골이 지닌 여성성과 목재 한옥의 관계, 어머니를 상징하는 자미화 나무의 정결을 훼손한 목수의 배설 행위 등은 주인공이 추구하는 신화적 공간의 완성에 방해가 되고 있다. 제이골이라는 사적 공간의 젠더적 이미지와 남성성을 대표하는 목수의 배설 행위가 주인공의 욕망을 좌절시킨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space and place in Choi Eun-mi’s short stories “Geunrin” and “BaekIldongan”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Gender geography adds the concept of gender to the humanistic geography, explaining the reason and process of having unique attributes in each person or plac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lifestyle, meaning, etc. In the process of personal place experience and space semantics,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space, analyzing the meaning of space in literature and the lif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e world projected into the work as well as the in-depth appreciation of the work.
    “Geunrin” is a work that shows the mutual penetration of the city’s public and private areas and the way people relate to gender and space in modern society. The mutual penetration of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shown in this short story means the dissolution of the space organized by the social system. The figures in the neighborhood park, the main background, are mostly women, maintaining contradictory neighbors in anonymity. Ideology serves to consolidate the boundaries of social space, and those who fail to comply with it become alienated from the social spatial system.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ociety as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maladjusted to the existing social system increases. The cracks in the space eventually lead to the collapse of the boundary, the disintegration of the space.
    “BaekIldongan” is a short story that shows the process of discouraging a man’s desire to pursue a mother-oriented space, otherwise a mythical space. The main character Kang Sang-ki has pain such as longing for his mother, loss of family ties, and disappearance of his lover. His desire is to build a Jamijae in his hometown of Jaeigol to own the 100 days he spent with his moth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Jaeigol’s femininity and wooden house, and the poop of a carpenter who damaged the chastity of the Jamihwa tree symbolizing his mother, are hindering the completion of the mythical space sought by the main character. A carpenter’s excretory behavior, which represents gender image and masculinity in a private space called Jaeigol, frustrated the main character’s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