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통과 단절의 사이에서 길을 만들다, 함경도 구비서사시 <양산백・축영대> 연구 (Make a path between communication and disconnection, A Study of the Oral-epics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n Hamgyeong-d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05
34P 미리보기
소통과 단절의 사이에서 길을 만들다, 함경도 구비서사시 &lt;양산백・축영대&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3호 / 125 ~ 158페이지
    · 저자명 : 윤준섭

    초록

    《문굿》의 구비서사시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함경도 망묵굿은 죽음의 의례이다. 죽음으로 비롯된 생자(生者)와 망자(亡者)의 단절에서 굿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때 생자는 굿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잘 가기를 희망하면서도 그와 다시 만나기를 소망한다. 이를 위해 생자는 망자와 소통하는 길이 필요했다. 본 논문은 〈양산백‧축영대〉의 주인공 축영대가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잇는 신이 되는 과정을 살폈다.
    먼저 고전소설 〈양산백전〉과 달리 〈양산백‧축영대〉는 양산백, 축영대의 사랑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서사시임을 확인했다. 그런데 이때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제차로 알려진 《문굿》과 연관 지어 논의하면 여러 의문점이 발생했다. 실제 망묵굿에서 《문굿》의 연행 여부와 《문굿》에서 〈양산백‧축영대〉의 연행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다. 다만, 임석재, 장주근, 김태곤이 남겨 놓은 조사 보고에는 〈양산백‧추영대〉가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이유를 해명할 수 있는 자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자료는 김태곤이 남긴 〈양산백‧추영대〉에 관한 주석이다. 그는 이 서사시가 젊어서 죽은 망인의 경우에만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본 논문은 김태곤이 이러한 주석을 붙인 것은 〈양산백‧축영대〉가 ‘혼사굿’에서 구연되었기 때문임을 파악했다. 즉, 서사시의 주인공인 양산백, 축영대는 현실에서 사랑을 이루지 못했지만 저승에서 사랑을 이룬 인물임을 확인한 것이다. 그렇기에 양산백, 축영대는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젊어서 죽은 망령들을 위로하는 신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자료는 임석재, 장주근이 남긴 《문굿》의 실제 명칭이다. 임석재, 장주근은 〈양산백‧축영대〉가 구연되는 제차를 ‘《문굿(문굿천두질굿)》’이라 표기했다. 이에 본 논문은 〈양산백‧축영대〉를 ‘문굿’을 넘어 ‘길굿’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양산백‧축영대〉에서 축영대는 사랑의 힘으로 양산백에게 가는 새로운 길을 놓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기에 축영대는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다시 잇는 신이 될 수 있었다.
    정리하면 〈양산백‧축영대〉는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젊어서 죽은 망령들을 위로하는 신에 관한 내력과 생자와 망자 사이의 끊어진 길을 다시 잇는 신에 관한 내력이 다층적으로 담긴 서사시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Mangmukgut in Hamgyeong-do, where the epic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of “Mungut” is featured, is a ritual of death. Because the ritual[gut] begins at the disconnection from the dead of the dead and the living beings. At this time, the living beings hope that the dead will go to the otherworld well, but hope to see them again. To do so, the living beings needed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dead.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of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becoming a god connecting the cut-off path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First, unlike the classic novel “YangsanBaekjeon”, it was confirmed tha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s an epic that focuses on the love betwee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However, there were many questions when discussing it in connection with “Mungut”, known as the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t is not clear whether “Mungut” was performed in Mangmukgut and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n “Mungut”. However, the survey report left by Lim Seok-jae, Jang Joo-geun, and Kim Tae-gon confirmed that there was material to explain why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was played in Mangmukgut.
    The first was a comment o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left by Kim Tae-gon. He explained that the epic only applies to die young. This paper found that Kim Tae-gon made such annotations because “Yangsan baek and Chukyeongdae” was performed in Honsagut(otherworld wedding ritual). In other words, the main characters of the epic,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proved that they did not achieve love in reality, but they achieved love in the otherworld. Thus,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can be seen as gods that comfort the spirits who died young without achieving love.
    The second was the actual name of “Mungut” left by Lim Seok-jae and Jang Joo-geun. They labeled the ritual procedure, which performed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as “Munduchoendujilgut.” In response,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from the perspective of “Gilgut” beyond “Mungut”. As a result, in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Chukyeong dae confirmed that a new path to Yangsanbaek is set by the power of love. Therefore, the Chukyeongdae was able to become a god connecting the broken road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n short, “Yangsanbaek and Chukyeongdae” is a multi-layered epic about a god who comforts the specter who died young without achieving love and a god who reconnects the broken path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