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동성왕대 대남제 외교전략 - 『남제서』 백제전의 표문을 중심으로 - (The diplomatic strategy on Southern Ch’i during King Tongsǒng’s period of reign-Focusing o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Paekche Annals of Nan Ch’i shu-)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3
42P 미리보기
백제 동성왕대 대남제 외교전략 - 『남제서』 백제전의 표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85호 / 279 ~ 320페이지
    · 저자명 : 박찬우

    초록

    이 글에서는 동성왕대 대내외 정세를 고려하면서, 당시 백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남제에 접근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남제서』 백제전에 실린 표문을 중심으로 외교전략의 문제에 주안점을 두었다. 표문을 살펴보면, 동성왕은 신하들에게 임의로 수여한 관작을 남제로부터 승인받고자 하였다. 그 요청 사유는 대중사행 및 獫狁을 물리친 공로였다. 獫狁의 실체에 대해서는 그간 북위 혹은 고구려로 보는 등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렇지만 표문은 남제 황제가 읽을 것을 전제로 하여 작성된 것이며, 당시 남제는 북위를 獫狁에 비견하였다. 이를 감안하면 그 실체는 차치하더라도 표문에서 獫狁은 북위를 지칭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당시의 국제정세나 『위서』에 관련 사실이 전무하다는점 등을 감안하면 표문에 기록된 북위의 침입이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신하들이 세운 모종의 공로가 북위와의 전투에서 세운 전공처럼 분식되었다고 생각된다.
    동성왕은 표문에서 신하들의 대중사행의 공로를 거론하였는데, 이는 백제가 남제의충실한 번국임을 강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獫狁의 침입 격퇴에 관한 것도 남제의 번국으로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여 왔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생각된다. 당시 백제는 북위에 대한 대항의식을 드러내면서 남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자 했다. 이를 통해남제로 하여금 백제를 중시하게 만들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려 했을 것이다. 남제는북위와의 관계에서 열세에 놓여 있었고, 남북조의 대립도 다년간 지속되었다. 백제는 이러한 국제정세를 이용하여 남제에 접근하는 외교전략을 구사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diplomatic stratergy with the diplomatic documents of Paekche Annals of Nan Ch’i shu as the center, consider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during King Tongsǒng’s period of reign(479-501). As the diplomatic documents have shown, Tongsǒng desired Southern Ch’i to recognize the temporary chinese titles of his loyal retainers, which was granted by Tongsǒng. The reason for request was brilliant exploits by Tongsǒng’s envoys to Southern Ch’i and generals who win a war against Xiǎn Yǔn(獫狁). There were many opinions about Xiǎn Yǔn, and some research regarded Xiǎn Yǔn as Koguryǒ or Northern Wei. But it's most likely Northern Wei in the diplomatic documents putting aside arguments about the true nature of Xiǎn Yǔn, because the diplomatic documents was written for the emperor of Southern Ch’i and Xiǎn Yǔn was an opprobrious word about Northern Wei in Southern Ch’i.
    However, as a matter of fact, it’s not quite sure about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in the late 5th century, because there is no mention about it on Wei shu, Northern Wei’s history book, and it’s difficult to find the main cause of the invasion judging from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It’s also doubtful about the lacks of specific war situation and dates on the diplomatic documents. To sum up, regarding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on Nan Ch’i shu as a fact can be doubtful, instead of that, it seems that some of the merits made by Tongsǒng’s retainers has been fabricated as if they distinguish themselves in a battle against Northern Wei. Tongsǒng mentioned merits made by envoys to Southern Ch’i on diplomatic documents to emphasize Paekche as a loyal feodary of Southern Ch’i. It is also believed that Northern Wei(Xiǎn Yǔn) invasion of Paekche on diplomatic document was a symbolic indication that Paekche engaged in military duty as a loyal feodary.
    Paekche attem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Southern Ch’i by showing overt hostility to Northern Wei, which led to make Southern Ch’i value the relationship with Paekche and by doing so Paekche can accomplish the intended goals, because Southern Ch’i is weaker compared to Northern Wei in Chinese continent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Paekche used a diplomatic strategy to gain access to Southern Ch’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