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芹村 白寬洙의 정치 이념 (Political Ideologies and activities of Baek Gwan-soo, alias Geunch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12
24P 미리보기
芹村 白寬洙의 정치 이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85호 / 457 ~ 480페이지
    · 저자명 : 신복룡

    초록

    이 글은 근촌 백관수의 정치이념과 그것이 일제시대 및 해방정국에서 그의 행동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쓴 글이다. 백관수는 일제 35년과 군정에서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5년의 기간에 이 나라의 지도자로서 가장 굴곡된 삶을 살다간 현대사의 비극적 상징이었다. 일제치하에서 백관수는 적국의 수도에서 독립선언서의 기초에 참여하고 낭독한 기개의 인물이었다. 그의 삶에는 분명히 지사적 우국심과 고뇌가 있었다. 그러나 막상 조직의 책임자가 되었을 때 백관수는 기개와 현실 사이에서 고뇌했으며 그러는 과정에 허물을 남겼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의 그의 생애에서 연정회(硏政會)의 가담은 비난의 대상이 아니며, 시국강연회의 명단에 포함된 것은 그의 허물이지만 그가 전적으로 비난받고 책임질 일을 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백관수가 경성군사후원연맹에 가담한 것은 변명할 수 없는 허물이 되었다. 그러나 조직(『동아일보』)을 파멸에 이르면서까지 지조를 지키는 것이 옳았는지 아니면 조직의 보존을 위해 자신이 멍에를 질 수밖에 없었던 현실에서 그가 얼마나 책임을 져야 하는지의 문제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 문제에 관한 한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사실의 과오를 시인·사과하고, 그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씻김굿을 통하여 용서의 길을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경 2·8독립선언의 주역이 친일 논쟁에 휘말리고 애국지사의 반열에서 제외되는 것은 당사자와 국민 모두에게 비극적인 사실이다.
    군정기간에 그가 입법의원 임시의장의 자격으로 남한 단독정부의 결의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분단의 책임 문제로 확대되어 이 사회를 진보와 보수로 나누는 잣대가 되었다. 그러나 이미 1948년의 상황에서 단정 문제는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으며, 백관수 한 개인의 결심으로 어찌 되거나 바뀔 상황이 아니었다.
    백관수를 비롯한 남한 정치 요인들의 납북은 이미 북한의 개전 당시에 입안된 용의주도한 계산에 따라 진행된 것이었다. 북한 지휘부는 서울을 점령하고 그들을 볼모로 삼아 남한을 항복시킬 수 있다고 오판한 데에서 전쟁의 비극은 잉태되었다.
    분단 70년이 지난 지금의 상황에서 본다면 역사는 크게 바뀐 것이 없다. 그 당시 건국준비위원회(建準)이나 민주주의민족전선(民戰)의 노선이나 투쟁 방식과 한민당의 노선이나 지지 기반은 지금에 와서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역사에서 70년은 그리 긴 시간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역사는 진보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회의를 느낄 수도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political ideologies and activities of Baek Gwan-soo, alias Geunch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Baek Gwan-soo lived an ordeal life for 35 years under Japanese rule and 5 years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s an symbolic political leader and prominent journalist. Under the Japanese rule he drafted and read the Independence Declaration on February 8th in Tokyo. During this time evidently he had been patriotic and agonized in the national tragedy. But when he became a responsible manager of an organization, Dong-A Ilbo, he was astray between ideal courage and realism and tainted by some faults. But his involvement in the Yunjunghoe (Association of Political Studies), a pro-Japanese meeting, could not be blamed. And his participation of Current Political Speech Team was his fault, not entirely but in some respect.
    His participation in the Union of Gyungsung(Seoul) Military Support could not be excused from blame as collaboration with Japanese war policy. But it is disputable which is right course to close the Dong-A Ilbo under the name of national spirit or to survive as last one of two nationalist newspapers, and how deeply and critically was he responsible for it. In this point his families and followers, it is desirable, should recognize and apologize his misdeed, and his critics would forgive him through an “idealistic absolution.” It is pathetic affair for both himself and Korean people to see that a prominent leader of Tokyo Independence Declaration was stigmatized as a pro-Japanese man and excluded from the list of patriotic figures.
    His role as an acting Chairman of Legislative Assembly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s been exaggerated by several liberalists as if he were responsible for single government by South Korea and for the separation of Korean peninsular, and left and right were divided on this issue as a criterion. But in the situation of 1948, the single government by South Korea had passed “the bridge of no return,” and can not be dealt by a personal capability.
    The kidnap of the political leaders including Baek Gwan-soo by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was schemed deliberately before the beginning of war. North Korean leaders judged that it was possible to make the South Korea surrender through occupation of Seoul and capturing of South Korean leaders as hostage.
    At this age, 70 years after the separation of Korean peninsular, the historical situation has changed little. The line and struggle method of Nation-building Preparation Committee(Gunjoon) and Democratic Peoples Front(Minjun) at left side and those of Korean Democratic Party(Hanmindang) at right side were not different from today’s situation in the political spectrum and the supporting ground. In this respect, 70 years were neither long nor sufficient to change history and it caused a doubt whether “is history evol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