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 상하 다시 읽기— (An Aspect of Boyi Accep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rereading of Boyiron(two volumes) of Yeonam Park Jiwon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연암 박지원의 &lt;백이론&gt; 상하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3호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백이 수용의 제 양상과 백이 비평 담론의 사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거시적 목표 아래 기획되었다. 사마천의ꡔ사기ꡕ그 중에서<백이열전>은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이 읽힌 텍스트인데, 이에 대한 열독은<백이열전>에 대한 정치한 비평을 가능하게 했고 백이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비평과 담론에 대한 연구는 백이 수용 양상뿐만 아니라 그 시대를 이해하는 좋은 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그 동안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연암 박지원의<백이론>상하 편을 분석 텍스트로 삼아, 그간의 논의를 재점검하고 그 속에 담긴 박지원의 의식지향을 살펴 조선후기 백이 수용과 백이 담론의 한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때 백이론으로 대표되는 백이 담론의 사적 맥락, 즉 정온․김시습․윤기․오재순․송문흠․박제가․성해응 등의 백이 담론 속에 박지원의<백이론>을 둠으로써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였다. 그 동안 연구자들은 연암의<백이론>을 정치적 맥락, 즉 북벌과 북학의 틀 속에서 이해하였지만, 연암의<백이론>과 북벌론은 생각보다 그 관계가 매우 느슨하고 백이에 대한 비판 의도 또한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백이론>상하 편이 북벌과 북학의 자장 속에서만 논의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오히려 백이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기존의 백이 담론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암은<백이론>을 통해 백이에 대한 당대의 단선적 이해를 지양하고 입체적으로 종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편에서는 수직적 구도 속에서 백이와 무왕과의 관계에 주목하였고, 하편에서는 수평적 구도 속에서 백이와 미자․비간․기자․태공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박지원은 기왕의 백이 담론에서 논란이 되어 왔던 중요한 두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고, 2차원의 좌표 위에서 백이의 위치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었다. 경도와 권도, 명분론과 혁명론 사이의 모순을 극복하고, 미지․비간․기자․백이․태공 등으로 대표되는 군신관계와 그것을 규율했던 에토스의 차이를 갈등 없이 봉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박지원의 이러한 지향은 인을 중심으로 한 그의 처세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설정한 거시적 목표 속에 이상의 결론을 배치시키면, 다음과 같은 부가적 결론까지 도출할 수 있다. 연암 당시에도 오재순, 윤기, 송문흠, 박제가, 성행응 등 여러 인물들이 백이 담론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다양한 비평론을 양산하고 있었으며, 그 주된 논의 범주가 경도와 권도, 명분론(의리론)과 혁명론, 군신관계를 규율했던 에토스, 그리고 인(인)에 관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평 담론의 논의 범주는 백이 수용의 범주와 그 방향을 규명하는 데 차후 일정 이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planned under macroscopic aim which was to research certain aspects of Boyi acception and historical context of critic discourse on Boyi in Joseon era. Boyi Liezhuan of Shiji written by Simaqian was the most text read through Joseon era. This diligently reading could brought political critic on Boyi Liezhuan and various debates surrounding Boyi. The study on these critics and discourses can be good windows to understand not only aspects of Boyi but also that time.
    Therefore this paper made an analytical text with Boyiron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standing on center of debate. Then this paper reconsidered discussions done until now and read Park Jiwon’s consc- iousness directivity. So this paper revealed a certain aspect Boyi discourse and Boyi acception in the late Joseon. That time, Jeong On, Kim Sisuep, Yoon Gi, Oh Jaesun, Song Munhuem, Park Jaega, Sung Haeeung etc consisting of historical context on Boyi discourses representing Boyi theory, tried new reading through putting Boyi argument of Park Jiwon into Boyi discourse. Meanwhile researchers understood Yeonam’s Boyiron in political contexts that was the conquer the north and Bukhak. However Yeonam’s Boyiron and Yeonam’s the conquer the north argument were not close each other and were not found critical intention on Boyi.
    As a result, discussing Boyiron only in the field of the conquer the north and Bukhak could not exist. Also it closely related established discourses surrounding Boyi. Yeonam combined understanding generally on Boyi through Boyiron with not unilinear understanding of his time but various understanding. He noticed relation Boyi and King Mu in vertical structure in the first volume and focused relation Boyi and Mija, Bigan, Gija and Taegong in horizontal structure in the second volume. Through this, he solved two important problems become controversy and accur- ately located position of Boyi on two dimensional coordinate. Which overcame contradiction between justification and revolution. Which combined differences of the ruler and the ruled’s relation represented for Miji, Bigan, Gija, Boyi, Taegong etc and ethos ruling this relation without conflict. Park JIwon’s such directivity consistently influenced his use of life centered on endurance.
    The macroscopic aim set in this paper is into these result, which can draw additional conclusion like followings. Many people such as Yoon Gi, Oh Jaesun, Song Munhuem, Park Jaega, Sung Haeeung etc participated in Boyi discourses and mass produced various critics. These critics mainly dealt with justification and revolution, ethos ruling the ruler and the ruled’s relation, and patience. The range of these critics can help to reveal category of Boyi acception and the directivity and m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