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종대 端宗 死節諸臣 현창의 일 양상 - 『白村遺稿』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Commemoration of the Martyred Vassals(死節諸臣) Who Remained Loyal to the Late King Danjong(端宗),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Examination of Baekchon Yugo(白村遺稿))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6.05
46P 미리보기
철종대 端宗 死節諸臣 현창의 일 양상 - 『白村遺稿』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58호 / 83 ~ 128페이지
    · 저자명 : 윤정

    초록

    본고는 김문기에 대한 사적 정비를 매개로 19세기 ‘단종제신’ 사적 정비가 문중을 매개로 확장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한편, 그에 연동된 후손들의 활동을 조망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영조 7년 관작이 복구된 김문기의 후손들은 철종 4년 선조․후손의 글을 모은 『白村遺稿』를 편찬하였다. 김문기 등이 사망한 지 400여년 만에 遺稿가 출현한 것이다. 선조의 시는 고려 왕조에 대한 충의로서 은거한 사적을 드러내고 있으며, 김문기와 아들의 시는 莊陵 配食壇에 배향된 인물들과 교유한 것이다. 이와 함께 김문기 부자가 피화된 후 그 자손이 通川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 전말과 충의와 은거를 지속하는 후손들의 움직임을 시를 통해 드러냈다.
    이러한 양상은 숙종대 단종복위 후 18세기 지속된 단종 충신에 대한 현창움직임과 궤를 같이 한다. 이에 당시 부각된 사적에 맞추어 교유 시를 구성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백촌유고』는 가문의 忠節 전통을 부각시킴으로써 단종에 충의를 다하다 죽은 김문기 가문의 위상을 높이고 사회적 기반을 확고히 하려는 후손들의 지향을 드러내는 것이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vestiges and remnants that belonged to vassals who had remained loyal and also died fighting for the expelled king Danjong(Danjong Jeshin, 端宗諸臣) were expanded in the 19th century, by the efforts of their descendants. Commemoration of the history of a person named Kim Mun-gi seems like an occasion that jump-started the process, so it is more closely examined here. In the meantime, also examined is what kind of activities the descendants actually involved themselves in.
    Descendants of Kim Mun-gi, whose title and honor was reinstated in the 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compiled articles and pieces that had been authored by the Kim house ancestors (which of course included Kim Mun-gi) and published an anthology entitled Baekchon Yugo(白村遺稿), in the 4th year of King Cheoljongs reign which actually was after over 4 centuries since Kim Mun-gis own death. Articles authored by the highest ancestors of the house reveal a notion of loyalty that did not allow them to enlist in the Joseon governments payroll and instead had them remain as loyal vassals of Goryeo. Poems from Kim Mun-gi and his son portra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whose tablets were later enshrined at the Baeshik-dan(配食壇) altar of Jangreung(莊陵) mausoleum. How their descendants moved to Tongcheon(通川) area after Kim and his son were killed, and in what kind of manner they lived there ever since, as in solitude which was imposed upon their lives by no one but themselves, are displayed through various poems listed here as well.
    Their efforts were part of a bigger social trend which was witnessing more and more efforts embarking upon commemorating the selfless deeds of Danjongs Loyal Vassals, since the reign of King Sukjong in the 18th century. New historical information was being discovered, and devised were new ways of commemorating them, including displays of poems that were also evidences of their internal friendship. Baekchon Yugo was the result of such endeavor from the descendants that was to emphasize the familys old tradition of loyalty and integrity(忠節), in order to enhance the houses image and reinforce its social plat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