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하(白下) 윤순(尹淳)의 산수 공간 인식과 그 의미 (The Recognition and Meaning of Landscape Poems by Baekha(白下) Yoon soon(尹淳))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10
38P 미리보기
백하(白下) 윤순(尹淳)의 산수 공간 인식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61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김묘정

    초록

    이 글은 白下 尹淳(1680~1741)의 山水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백하가 지니고 있던 산수 공간 인식과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산수 공간으로 분류하여 논의를 진행한 것은 우선 백하의 시세계에서 가장 의미 있는 공간이 3곳으로 대별되며, 그 공간이 모두 산수와 연계되기 때문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백하의 삶과 산수시를 개관하고 공간별로 산수시를 분류하였는데, 이는 백하의 산수시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3장에서는 백하의 산수 공간 인식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첫 번째로는 백하가 1715년에 방문한 金剛山이라는 공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금강산 유람은 당시 성행했던 유람 양상 중 하나인데, 특징적인 면모는 백하가 금강산을 신선 세계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여타 산수시에서는 이와 같은 양상이 확인되지 않으며 오직 금강산이라는 공간만을 ‘仙山’으로 표현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두 번째로는 同遊 체험 공간으로서의 俗離山과 시적 형상화 양상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백하는 1716년에 속리산을 유람했으며 여러 편의 유산시를 남겼는데, 그중에서도 특징적인 양상은 백하가 유람한 속리산이 同遊 체험 공간으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이에 여기에서는 백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피되, 동시기 백하와 同遊한 澹軒 李夏坤(1677~1724)의 작품을 함께 분석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주요 사찰들이나 승려와의 기록이 주를 차지하며, 작품에 佛界에 대한 묘사가 되어있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는 관직 사직 후, 은둔 공간으로의 白鶴山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백하는 1723년 탄핵을 받고 사직한 뒤 백학산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그 당시 백하의 처지와 맞물려 백학산이라는 공간이 가지는 특별한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그의 호가 白下인 만큼 그의 삶에서 이곳은 관직 사직 후 짧은 기간이지만 은둔의 장소이자 삶에서 중요한 기점이 된 공간임을 밝혔다.
    이 글은 백하의 삶에서 의미를 지니는 3곳의 산수 공간을 심층적으로 확인하여 산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산수 문예 의식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백하 시세계의 한 부분을 이해하는 동시에 문학적 능력을 파악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the Landscape space and its meaning, using the Landscape Poems of Baekha(白下) Yoon soon(尹淳, 1680~1741) under Baekha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ason why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it as a Landscape space is that first of all, Baekha's three most meaningful spaces in the city world are largely divided, and all of them are linked to Landscape.
    First, in Chapter 2, the life of Baekha(白下) and the Landscape Poems(山水詩) were outlined, and the Landscape Poems were classified by space to understand the Landscape Poems of Baekha in three dimensions. Subsequently, Chapter 3 attempted to clarify the aspect of Baekha's perception of Landscape space and its meaning. Therefore, first, I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space called Kunkang Mountain(金剛山), which Baekha visited in 1715. The tour of Kunkang Mountain in the Joseon Dynasty was one of the popular tourist patterns at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 aspect is that Baekha recognized Kunkang Mountain as a Immortal World. This pattern is not confirmed in other Landscape Poems, and it is meaningful that only the space called Kunkang Mountain was expressed as a Immortal World.
    Second, we tried to check Songnisan Mountain(俗離山) and the poetic shape as a space to cruise together(同遊). Baekha(白下) toured Songnisan in 1716, leaving several Yusansi(遊山詩), one of the most distinctive aspects of which is that it is a space for Songnisan, where Baekha has toured, to explore together. Here, we will focus on Baekha's works, but Damheon(澹軒) Lee Ha gon(李夏坤, 1677~1724), who toured with Baekha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records with major temples and monks were mainly occupied, and that the work was described as Buddism World(佛界).
    Third, after resigning from office, I tried to illuminate Baekhaksan Mountain(白鶴山) as a space of hermit(隱遁). Since Baekha(白下) was impeached in 1723 and resigned, he entered Baekhaksan, and at that time, in conjunction with Baekha's situation, he sought to find the special meaning of the space Baekhaksan. As his name is Baekha(白下), he revealed that this space is a short period of time in his life, but it is a special meaning.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in-depth the three Landscape spaces that have meaning in Baekha's life to understand the aspect of Landscape space recognition, while also examining how Landscape literary consciousness is expressed.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to understand a part of the world of Baekha's poetry and at the same time to grasp literary 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봉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